80년대 13만명서 지난해 6만5000명으로...대책마련 절실
부안군이 농어촌 지역 기피 현상에 따라 인구 감소가 지속되면서 경기가 수년 째 하락, 지역 경기 활성 등을 위한 근본적인 대책 마련이 절실한 것으로 나타났다.
군에 따르면 동부 평야부와 서남부 산지·해안의 관광권·서해안지대 수산업권으로 분류돼 있는 부안의경우 80년대 당시 13만 명을 웃돌던 부안군의 인구수는 해마다 3000∼4000명이 감소, 지난해 말 현재 6만5000여명(남자 3만2205명·여자 3만2813명)에 머물고 있다.
또 논 1만5468㏊, 밭 4478㏊, 경지 면적 1.76㏊로 도내 농업 중 비교적 농지 소유 면적이 비교적 넓은 편이지만 농업의 대부분이 주곡 농업 형태로 이뤄지는 데다가 수산업의 경우 수산 자원의 고갈로 어업이 점차 쇠퇴의 길을 걸으면서 탈 농 현상을 더욱 부추기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
더욱이 수산업의 경우 어업인구수 3000여명, 1600가구수로 가장 많은 인구가 어업에 종사하고 있지만 대부분 영세성을 면치 못하고 있는 데다가 어장 황폐화로 어업이 전반적으로 쇠퇴의 길을 걷고 있다.
또 제조업의 경우 줄포 농공단지(7개업체 305명)와 행안농공단지(13개업체 131명)에 입주한 20여개의 중소 업체를 비롯 사업장 5인이상 270여개 업체 3500여명이 종사하고 있지만 지역 경기 활성화에는 커다란 영향을 미치지 못하고 있다.
군 관계자는 “현재 소득 향상 및 지적 수준 향상·생활 수준 향상 등에 따라 인근 도시로의 인구 유출이 지속되고 있다”면서 “천혜의 조건을 갖춘 지역임에도 불구 열악한 경제적 구조의 기반은 탈 농 현상을 가속화시켜 지역 기반을 뿌리 째 흔들고 있는 상태”라고 말했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