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일반기사

[이치백의 一日五話] 필립핀 아키노 피살

《8월 21일》

 

 

①'루불'서 '모나리자' 도난

 

도저히 상상할 수 없는 사건이었다. 1911년의 오늘 아침, 루불박물관에서 '모나리자'가 사라져 버린 것이다. 아플리넬은 체포되고 피카소도 연행되어 갔다. 그로부터 2년 후, 박물관원이었던 이탈리아인 페르지아가 자수했다. '나는 그녀를 사랑했기 때문에…" 라고.

 

②필립핀 아키노 피살

 

필립핀에서 천재적인 정치가라고 하는 야당 리버럴 당수 아키노가 암살당한 것은 1983년의 오늘이었다. 그는 미국에서 반 마르크스 운동을 벌이다가 이날 귀국길에 비행기에서 내리자 연행되어 가는 도중 후두부에 총탄을 맞고 즉사했다. 장례식에는 마니라 권에서 200만 명이 참가했다.

 

③붉은 군대 체코 자유 유린

 

1968년의 오늘, 소련·폴란드·동독 등 동유럽 5개국 연합군이 탱크부대를 앞세우고 체코에 침공해 왔다. 이를 저지하는 체코의 자유시민을 무자비하게 짓밟았다. 당시 타스 통신은 "체코 지도자들이 무장병력을 포함한 긴급원조를 형제인 체코인민에 제공해 달라 요청해 왔다."고 보도했다.

 

④가사내용 보고 작곡 의욕

 

비록 뇌일혈은 극복했다지만 창작의욕은 쇠퇴한 헨델에게 1741년의 오늘, 소포 하나가 왔다. 그것은 작곡을 의뢰하는 시인 진넨스의 작품 '위로함이 있어라'였다. 이 시의 첫 행을 본 헨델은 즉각 작곡에 들어가 24일 만에 불후의 명작 '메시아'를 완성했다.

 

⑤일본군 2만5천여 명 전사

 

호주의 동북쪽에 있는 구와돌카날 섬은 영국영토다. 태평양 전쟁이 일어나자 일본군은 일찌감치 이 섬을 점령했다. 그러나 1942년의 오늘, 연합군은 이의 탈환을 위해 일대 상륙작전을 전개했다. 이 작전에서 일본군 전사자는 무려 2만4천여 명이나 됐다. 이중 1만5천여 명은 아사 병사했다.

 

전북일보
다른기사보기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정치일반李대통령 “대한민국 행정 중심엔 지방정부…모든 주민 만족할 성과 내달라”

정치일반대통령실 “감사원 정책감사 폐지…직권남용죄 엄격히 적용”

정치일반전북도, 복권기금 녹색자금 공모 3개 시·군 사업 선정… 국비 14억 확보

정치일반새만금개발청, 핵융합에너지 연구기지 경쟁력 모색

경제일반[건축신문고]건축설계변경, 언제까지 건축사가 안고가야 하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