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일반기사

[딱따구리] 소비자 위한 기업되길

박영민 기자(경제부)

지난 3월 소비자기본법 개정에 따라 50명 이상 소비자가 같은 제품이나 서비스로 피해를 봤을 때 소비자원, 소비자단체 등이 피해 소비자 50명 이상을 모아 소비자분쟁조정위원회에 조정을 신청하는 집단분쟁조정제도.

 

분쟁제도가 시행된 지 9개월의 시간이 흐르면서 소비자들의 기업의 횡포에 대한 주권 찾기가 도내는 물론 전국적으로 거세지고 있는 실정이다.

 

그동안 소수여서 당할 수밖에 없던 기업의 횡포에 더 이상 소비자들이 좌시하지 않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도내의 경우 지난달 첫 집단분쟁조정신청 사례의 결과가 내년 1월 중순께 나올 예정인 가운데 이달 안에 또 다른 집단분쟁 조정 신청이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이 같은 상황은 도내뿐만 아니고 전국적으로 이뤄지고 있는 상황이다.

 

특히 집단분쟁조정 신청 사례가 봇물을 이루고 있다는 보도가 나가면서 기업들은 불안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이쯤해서 소비자 집단분쟁조정제도에 대해 심각하게 생각을 해봐야 할 것 같다. 나라에서 법을 개정하면서까지 소비자들의 권리를 보장하기 위해 나섰다는 것이 선진국이라고 말하는 우리나라에서 이뤄지고 있다는 게 부끄럽다.

 

그 이유는 개개인의 소비자에 대한 피해를 기업들이 그동안 얼마나 무시해 왔으면, 그리고 얼마나 많은 횡포를 부려왔으면 나라에서 이 같은 법까지 만들었을까 하는 생각 때문이다.

 

물론 소비자원의 분쟁조정위에서 내리는 결과가 모두 강제성을 띠고 있는 것은 아니어서 기업들은 또 소비자들의 아우성을 무시할 수도 있다.

 

그렇지만 혼자일 때는 그 정도가 쉬웠지만 여럿이기 때문에 쉽게 기업들이 무시할 수는 없을 것이다. 지금이라도 기업들은 그동안의 행위를 돌아보고 반성을 해야 할 때이다.

 

그리고 집단분쟁조정제도에 의한 것이 아니라 한명 한명의 소비자 의견에 귀를 기울여야 한다. 그래야 세계 일류 기업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박영민
다른기사보기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자치·의회임승식 전북도의원 “인프라만 남은 전북 말산업특구 ‘유명무실’”

자치·의회김동구 전북도의원 “전북도, 새만금 국제공항 패소에도 팔짱만… 항소 논리 있나” 질타

국회·정당임형택 조국혁신당 익산위원장, 최고위원 출마 선언…“혁신을 혁신할것”

법원·검찰남편에게 흉기 휘두른 아내, 항소심서 집행유예

사건·사고‘골프 접대’ 청탁금지법 위반 의혹 전북경찰청 간부, 혐의없음 종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