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일반기사

광우병 논란 중심 김용선 교수 해외 출국

광우병 논란 이후 언론과 일체 접촉 피해

국내 광우병 분야 전문가중 한 명인 한림대 의과대학장 김용선 교수가 해외로 출국했다.

 

김 교수는 지난 2004년 한국인이 인간 광우병에 취약한 유전자형을 갖고 있다는연구논문을 발표한 일 때문에 자의반 타의반으로 최근 미국산 쇠고기 전면 개방으로촉발된 광우병 논란의 중심에 서 있는 인물이다.

 

김 교수는 오는 7일 열리는 국회 `광우병 청문회'에 출석을 요구받았던 것으로 알려졌다.

 

5일 한림대 의료원에 따르면 김 교수는 지난 4일 핀란드로 2주 일정으로 출국한것으로 전해졌다.

 

의료원 측은 김 교수가 유럽병원과의 국제교류 문제를 협의하기 위해 해외로 나갔다고 설명하고 있다. 실제로 김 교수의 휴대전화로 통화를 시도하면 "해외로밍 중인 수신자에게 국제전화요금이 부과됩니다"라는 안내 멘트가 흘러나와 해외출국 사실을 뒷받침했다.

 

김 교수는 최근 불붙은 미국산 쇠고기 광우병 위험성 논란과 관련해 일체 언론과의 접촉을 피해왔다. 의료원 홍보실 관계자는 "김 교수와 통화가 되지 않으며, 특히 언론과는 전혀 만나려고 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김 교수는 국내 유일의 크로이츠펠트-야콥병(CJD) 진단검사기관인 한림대 의대 일송생명과학연구소 소장을 맡고 있다. 또 질병관리본부와 국립수의과학검역원이 공동 구성한 인수공통전염병대책위원회의 `CJD(vCJD)/BSE 전문분과위원회'의 위원으로참여하고 있다. 농림수산식품부의 가축방역협의회 자문위원으로 있기도 하다.

 

김 교수가 소장으로 있는 한림대 의대 일송생명과학연구소 연구팀은 건강한 한국인 529명의 프리온 유전자를 분석했다. 프리온은 광우병을 일으키는 단백질로 알려져 있다.

 

분석 결과 94.33%가 129번째 아미노산(단백질의 구성단위) 자리에 부계와 모계에서 각각 메티오닌을 받은 메티오닌-메티오닌(MM)인 것으로 나타났다. 메티오닌은 아미노산의 일종이다.

 

지금까지 확인된 거의 100% 가까운 인간 광우병 환자는 메티오닌-메티오닌이었다.

 

이 연구는 지난 2004년 저널 오브 휴먼 제네틱스' 온라인판에 실렸었다.

 

김 교수는 이 연구 결과와 관련, 지난해 한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미국이나 영국은 인구의 약 40%가 메티오닌-메티오닌"이라며 "한국인이 광우병에 걸린 쇠고기를먹을 경우 인간 광우병에 걸릴 확률이 미국인이나 영국인에 비해 높을 수 있음을 시사한다"고 설명했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정치일반李대통령 “대한민국 행정 중심엔 지방정부…모든 주민 만족할 성과 내달라”

정치일반대통령실 “감사원 정책감사 폐지…직권남용죄 엄격히 적용”

정치일반전북도, 복권기금 녹색자금 공모 3개 시·군 사업 선정… 국비 14억 확보

정치일반새만금개발청, 핵융합에너지 연구기지 경쟁력 모색

경제일반[건축신문고]건축설계변경, 언제까지 건축사가 안고가야 하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