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일반기사

[이곳만은 지키자-생태보고서] 주목과 구상나무

▲주목 - 단단 은은…옛부터 귀한 목재…껍질서 항암물질 '탁솔' 발견돼

 

 

주목(朱木)은 백두대간을 따라 주요 군락지인 소백산과 덕유산 이외에 금강산, 설악산, 오대산, 태백산 등 높은 산악지대나 추운지방에서 주로 서식한다.

 

한반도의 기후가 지금보다 낮았던 빙하기가 끝나고 기후가 따뜻해지면서 주목이 낮은 환경을 찾아 고산지대로 이동하면서 고립됐다는 의견이 있다. 다른 나무들의 그늘에서 잘 견딜 수 있는 극 내음성 수종으로 숲 천이의 후반부에서 잘 나타난다.

 

서서히 오래도록 자라는 것도 약한 빛 환경에 적응한 결과다. 주목의 침엽이 두 줄로 어긋나게 달리거나 진 초록색을 띠는 것도 빛을 최대한 많이 받아들이기 위해서다.

 

주목은 이처럼 성장 속도가 느리고 봄이나 가을이나 자라는 것이 일정해 목재가 단단하여 결이 은은하다. 때문에 한번 가공된 것은 잘 뒤틀리거나 썩지 않아 옛날부터 귀한 목재로 사랑을 받아왔다.

 

주목은 또 나무의 모습이 아름다워 정원수로 많이 사용된다. 최근에는 주목 껍질에서 탁솔이라는 항암물질이 발견돼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1000여 그루가 군락을 이룬 소백산 주목 군락과 수령이 1200~1400년으로 추정되는 정선 뒤위봉의 주목 세 그루가 천연기념물로 소백산과 쌍벽을 이루는 덕유산 향적봉 일대의 주목군락은 전북도 기념물 80호로 지정, 관리되고 있다.

 

▲구상나무 - 덕유산·한라산 자생 한국특산종

 

구상나무는 히어리, 망개, 미선나무와 함께 국내에만 서식하는 한국특산종이다. 주목처럼 빙하기 때 한반도 끝인 제주도까지 확장했다가 2만년 전 빙하기가 끝나면서 대부분 도태했고 현재 한라산과 덕유산 정상 일대에만 자생하는 희귀수목이다.

 

구상나무는 또 100년 전 독일로 건너가 크리스마스트리용으로 개량돼 판매되고 있으며, 빙하기를 거친 화석나무라는 생태학적 가치를 갖고 있다.

 

아울러 해발 1300m 지점부터 분포하고 있는 덕유산 구상나무는 식생분포학적으로 볼 때 북방 한계선에 자리하고 있어 그 의미가 더욱 크다.

 

박영민
다른기사보기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정치일반李대통령 “대한민국 행정 중심엔 지방정부…모든 주민 만족할 성과 내달라”

정치일반대통령실 “감사원 정책감사 폐지…직권남용죄 엄격히 적용”

정치일반전북도, 복권기금 녹색자금 공모 3개 시·군 사업 선정… 국비 14억 확보

정치일반새만금개발청, 핵융합에너지 연구기지 경쟁력 모색

경제일반[건축신문고]건축설계변경, 언제까지 건축사가 안고가야 하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