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일반기사

[여성의 힘 2050] 학부모조차 모르는 교육감 선거

투표율 10%대 전망, 후보 정책·프로필도 몰라…만19세 이상 내달 23일 첫 주민직선제로 치러

"얼마 전 아이 학교에 갔는데 교육감 선거 한다고 플래카드가 걸려있는 거예요. 그래서 담임 선생님한테 이게 뭐냐고 여쭤봤죠."

 

"그래요? 우리 아이 학교에는 안붙어있던데요? 만날 급식비 내라, 우유값 내라, 이런 통지문은 잘 보내면서 교육감 선거처럼 중요한 건 왜 안보내나 몰라요."

 

"우리 아이는 아직 초등학교도 안다니는데…. 꼭 나까지 투표를 해야하나라는 생각이 들어요. 귀찮기도 하고, 또 정치보다 썩은 게 교육이라고 하잖아요."

 

7월 23일은 '제15대 전라북도 교육감선거'. 전북에서는 올해 처음으로 만 19세 이상 도민들이 직접 교육감을 뽑는 주민직선제로 치러진다. 그러나 이를 제대로 알고 있는 이들은 많지 않다.

 

대부분 초등학생을 자녀로 두고 있는 전북일보 여성객원기자들도 "솔직히 교육감 선거에 대해 잘 모른다"고 답했다.

 

"직선제 첫 해여서 인지 자기가 투표권이 있나 없나도 잘 모르는 것 같아요. 교육감의 역할이 얼마나 중요한 지, 교육감을 왜 직선제로 선출하는지, 그런 것들을 모르니까 투표할 생각도 안하는 거죠."

 

객원기자들은 "아이를 두고 있는 부모도 모르는데, 일반인들은 얼마나 더 무관심하겠냐"고 반문하며 "홍보가 부족하다"고 입을 모았다.

 

"선거비용만 121억원 정도가 들어간다고 하던데, 정작 홍보는 많이 안하는 것 같아요. 게다가 투표율이 10%대에 머물 거라는 전망도 있던데, 그렇게 낮은 투표율로 직접 투표의 의미나 찾을 수 있을까요?"

 

객원기자들은 "교육감을 직선제로 뽑다보면 정치성이 더해질까봐 우려스럽다"면서도 "직선제에 찬성한다"고 말했다.

 

이들은 "교육감 선거에 일반인들까지 끌어들이기는 힘들더라도 학부모들이라도 교육감 선거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교육이 필요하다"며 "정책은 물론, 후보들의 프로필 조차 알기 힘들다"고 아쉬워했다.

 

"우리 아이들의 미래를 위한 건데, 정말 잘 뽑고 싶어요. 그런데 뭘 알아야 뽑죠. 새 교육감은 제발 애들 잡는 교육은 하지 말았으면 좋겠어요."

 

객원기자들은 "전북 교육 관련 예산이 늘었으면 좋겠다"며 "이왕이면 현장 경험이 있고, 또 현장에 있을 때 잘 했던 사람을 뽑고 싶다"고 말했다.

 

새 교육감에 대한 바람도 감추지 않았다. 특히 학교 급식 조례에 구멍이 많다며, 급식 재료를 지역에서 생산되는 친환경 농산물로 한다면 지역 농촌을 살리는 데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또 연구학교 제도의 보완 필요성도 지적했다. 교사들이 연구주제에 맞춰 사례를 수집하거나 결과물을 정리하는 데만 몰두하다 보니 연구학교의 취지를 제대로 살리지 못한다는 것. 객원기자들은 "교사들은 승진을 위해, 학생들을 성적을 위해 매달리는 게 현실"이라며 "성과 위주의 시스템 개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도휘정
다른기사보기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정치일반李대통령 “대한민국 행정 중심엔 지방정부…모든 주민 만족할 성과 내달라”

정치일반대통령실 “감사원 정책감사 폐지…직권남용죄 엄격히 적용”

정치일반전북도, 복권기금 녹색자금 공모 3개 시·군 사업 선정… 국비 14억 확보

정치일반새만금개발청, 핵융합에너지 연구기지 경쟁력 모색

경제일반[건축신문고]건축설계변경, 언제까지 건축사가 안고가야 하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