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일반기사

"마취 후 사망률 '영아·노약자·남성'일수록 높아"

서울대병원 5년치 분석.."1만명 당 21명 꼴 마취 후 1주일 내 사망"

요즘도 가끔 발생하는 의료사고 가운데 하나가 마취 후 환자가 숨지는 것이다. 그만큼 마취사고는 병원 의료사고 중 사망 위험성이 높은 편이다.

 

하지만 국내에서 마취 후 사망률을 분석한 연구자료는 1976년 대한마취과학회지에 발표된 게 전부였다. 그 이후 30년간 마취 후 사망률에 대한 분석자료가 없었던 셈이다.

 

이런 가운데 서울대병원에서 30여년 만에 마취 후 사망률을 분석한 보고서를 내놔 주목된다.

 

서울대병원 마취통증의학과 안원식 교수팀은 지난 2000~2004년 사이에 이뤄진 병원 내 7만4천458건의 `마취과 수술 후 1주일 내 사망자료'를 분석한 결과 모두 155명(0.21%)이 숨져, 1만명당 21명의 사망 빈도를 보였다고 24일 밝혔다.

 

이번 보고서는 대한중환자의학회지 최근호에 게재됐다.

 

마취 후 사망률을 마취 종류별로 보면 전신 마취가 0.23%의 사망률을 보여 다른 마취 방법에 비해 사망률이 높았다. 부문 마취에 해당하는 척추 마취는 해마다 1명 정도씩 사망했다.

 

나이대별로는 1세 이하 영아에서 0.90%로 가장 높은 사망률을 보였으며, 80대 이상 0.53%, 70대 0.40% 등의 순으로 사망률이 높았다. 반면 1~9세나 10~19세 사이의 사망률은 다른 연령대에 비해 낮았다

 

마취 후 1주일 내 사망률을 성별로 보면 남자가 0.29%, 여자가 0.13%로, 남자가 여자보다 2.24배 정도 높았다.

 

진료과별 마취 후 사망률은 ▲흉부외과가 소아 1.56%, 성인 0.77%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신경외과(0.46%) ▲소아 일반외과(0.39%) ▲일반외과(0.35%) 등이 뒤를 이었다.

 

반면 비뇨기과, 산부인과, 이비인후과, 성형외과 등의 사망률은 비교적 낮았으며, 안과는 수술과 중 유일하게 사망사고가 단 1건도 없었다.

 

마취 후 일별 사망률을 분석해보면 ▲마취 후 1일째가 0.05%로 가장 많았고, 뒤이어 ▲수술 당일0.04% ▲마취 및 수술 후 5~6일째 0.01% 등으로 집계됐다.

 

특히 마취 후 사망률은 응급수술이 0.97%, 정규 수술이 0.06%로 응급 수술의 마취 후 사망률이 정규 수술에 비해 약 15.6배 높았다.

 

수술 종류별로는 심혈관계 수술이 1.23%로 사망률이 가장 높았으며, 다음이 소화기계 관련 수술(0.46%), 신경계 관련 수술(0.45%) 등 이었다. 장기 이식을 목적으로 입원한 경우만 놓고 보면 사망률이 2.82%로 신생아 관련 질환(2.04%)보다 높았다.

 

마취 후 사망사고의 최종 사인으로는 ▲패혈증이 34건(21.9%)으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수술 전후 저혈량증 21건(13.5%) ▲뇌손상 18건(11.6%) ▲급성 심부전 12건(7.74%) ▲급성 호흡 부전 6건(3.87%) 등으로 분석됐다.

 

안원식 교수는 "마취는 환자의 생명과 직결된 행위로 그 필요성과 함께 마취 후 가능한 위험성이 환자에게 충분히 설명돼야 하고, 이를 위해 마취 후 사망률이 그 위험성의 한 척도로 사용될 수 있다"면서 "외국에서 마취 후 사망률에 대한 분석이 활발한 점을 볼 때 국내에서도 마취 후 사망률 뿐만 아니라 마취 관련 합병증과 이를 줄이기 위한 요인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돼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문화일반이희숙 작가, 따뜻한 위로의 여정 담은 그림동화책 ‘소녀와 일기장’ 출간

문화일반부안 문학의 뿌리를 조명하다…최명표 평론가 ‘부안문학론’ 출간

정읍정읍 아진전자부품(주), 둥근마 재배농가 일손돕기 봉사활동 펼쳐

정치일반김 지사 “실질적 지방자치 위해 재정 자율성 확대 필요”...李 대통령에 건의

정치일반김관영 지사 “특별자치도, 지방소멸 막는 제도적 실험대 될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