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일반기사

환율 급등에 금리 추가 인상론 '솔솔'

최근 환율이 폭등하면서 한국은행이 다음 달 기준금리를 추가로 올릴 가능성이 조심스럽게 제기되고 있다.

 

한은은 물가를 잡기 위해 1년 만인 이달 7일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인상했지만 약효가 채 나타나기도 전에 환율 급등이라는 복병이 불거져 당황하는 기색이 역력하다.

 

전문가들은 환율 급등세가 꺾이지 않을 경우 한은이 두 달 연속 금리 인상 카드를 꺼내들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전망했다.

 

◇ 환율 급등에 기준금리 인상 약효 반감

 

27일 금융권에 따르면 한은이 이 달 기준금리를 올릴 때만 해도 시장과 전문가들은 연내 추가 인상은 없을 것으로 전망했다.

 

경기둔화 우려가 커지고 있는 상황에서 금리를 또 올리면 가계.중소기업 등 경제 전반에 충격을 줄 수 있는 데다 물가불안의 주범인 국제유가도 배럴당 120달러 밑으로 떨어져 안정세로 접어든 듯 보였기 때문이다.

 

하지만 지난 7일 1,016.50원이었던 원.달러 환율이 26일 현재 1,080원대로 64원이상 치솟으면서 상황은 달라졌다. 환율 급등은 물가 상승세를 부채질해 기준금리 인상 효과를 반감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한은에 따르면 국제 유가가 1% 오르면 물가는 0.02% 포인트 상승하지만 환율이 1% 상승하면 그 4배인 0.08%포인트 상승하는 효과가 발생한다.

 

지난 5월 이성태 총재도 "전체적으로 우리 경제를 보면 유가보다는 환율의 영향력이 더 크다"며 "1조 달러 정도의 국내총생산(GDP)에서 수입은 4천억 달러 규모인데, 이 수입품들이 모두 환율의 영향을 받는다"고 설명했다.

 

일부 전문가들은 8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유가 및 환율 급등의 영향으로 7%대까지 이를 수 있다는 전망도 내놓고 있다.

 

전효찬 삼성경제연구소 거시경제실장은 "물가 상승세가 8월 이후에는 꺾일 것으로 전망했는데, 환율 급등의 영향으로 높은 상승률이 계속될 가능성도 있다"며 "환율이 일시적으로 오르는 게 아니라면 금리를 통해 물가상승을 방어할 필요도 있다"고 말했다.

 

한은 관계자도 "환율이 오르면 물가에 악영향을 주기 때문에 금리동결이나 인하보다는 인상 쪽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말했다. 한은은 지난 해에도 7, 8월 두달 연속 금리를 인상한 전례가 있다.

 

◇ 경기둔화가 걸림돌

 

하지만 전문가들은 금리를 올릴 이유보다 동결할 이유가 아직까지 더 많다고 보고 있다.

 

무엇보다 금리를 인상하면 가뜩이나 어려운 경기에 찬물을 끼얹을 수 있다는 지적이 많다. 미국을 제외한 유럽 등도 경기둔화를 이유로 금리를 내리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는 상황에서 우리나라만 이러한 흐름을 역행하기도 쉽지 않을 거라는 분석도나온다.

 

신용상 금융연구원 거시경제연구실장은 "물가 및 환율 상승세를 생각하면 금리를 올리려는 유인이 있지만 경기 둔화가 현저히 나타날 가능성이 있어 추가 인상은 어려울 것"으로 내다봤다.

 

권순우 삼성경제연구소 거시경제실장도 "환율 상승세를 제어하기 위해 금리를 올리는 것은 `언발에 오줌누기'식 처방이 될 공산이 크다"며 "금리 인상을 통한 물가상승 억제 효과보다 부정적인 영향이 훨씬 클 것"이라고 말했다.

 

지난 2분기의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은 작년 동기 대비 4.8%로 한은의 전망치 5.0%보다 낮게 나왔다.

 

통계청에 따르면 전국가구의 2분기 월평균 소비지출은 219만8천 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4.6% 늘어나는데 그쳤고 실질로는 0.2%가 감소해 내수 위축도 심각한 상황이다.

 

금리를 추가로 올릴 경우 중소기업과 서민 가계의 고통은 가중된다. 중소기업의7월 말 은행대출 잔액은 395조3천890억 원에 이르고 가계 대출은 379조2천306억 원이나 된다.

 

또 9월에는 추석 연휴를 앞두고 중소기업의 자금 수요 등을 감안할 때 시기도 적합하지 않다는 의견도 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정치일반李대통령 “대한민국 행정 중심엔 지방정부…모든 주민 만족할 성과 내달라”

정치일반대통령실 “감사원 정책감사 폐지…직권남용죄 엄격히 적용”

정치일반전북도, 복권기금 녹색자금 공모 3개 시·군 사업 선정… 국비 14억 확보

정치일반새만금개발청, 핵융합에너지 연구기지 경쟁력 모색

경제일반[건축신문고]건축설계변경, 언제까지 건축사가 안고가야 하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