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업계·부동산시장 "장기·담보대출 이율 떨어져야…"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파격적으로 인하했지만, 건설업계 및 부동산 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그리 크지 않을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기준금리 인하 효과는 금융권의 실세금리 인하로 이어져야 나타날 수 있지만, 금융권의 장기대출 금리 및 부동산 담보대출 금리가 인하되기까지에는 적잖은 난관이 있기 때문이다.
이에따라 전문가들은 "얼마나 빨리 장기대출 금리나 CD금리가 인하될지가 이번 기준금리 인하 조치의 가장 큰 관건"이라고 분석했다.
14일 도내 중견 건설사 관계자는 "기준 금리 인하만으로 유동성 등의 어려움에 처해 있는 업체들의 숨통을 터주기에는 역부족"이라면서 "특히 기업의 입장에서는 장기채 금리가 매우 중요하지만, 장기 조달금리가 좀처럼 떨어지지 않아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건설업체들은 금융권이 BIS 비율을 맞추기 위해 신규 대출은 막고 대출자금 상환을 압박하고 있는 상황이라는 것이다. 여기에 이번 기준금리 인하조치 CD금리가 일부 떨어지기도 했지만, 기업경영을 위한 PF대출 등 장기대출 금리는 여전히 높은터라 업체들이 이번 기준금리 인하의 혜택을 받지 못하고 있다.
이는 부동산 시장에서도 마찬가지로, 시중은행의 금리인하 시점을 부동산 시장의 회복시점으로 보고 있다.
시중은행의 대출금리 등이 떨어져야 부채상환의 부담이 덜어지고, 그에따른 부동산 가격의 급락세가 다소 진정될 것이라는 전망이다.
부동산 업계 관계자는 "은행이 민간대출 금리 인하에 나서야만이 그동안 대출 이자 압박으로 나왔던 급매물 등이 일부 회수되는 등 부동산 가격의 급락세가 다소 주춤해질 것"이라면서 "민간대출 금리가 떨어져야 부동산 시장이 풀리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