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일반기사

주택 재산세 얼마나 오르고 내리나

행정안전부가 14일 올해 주택분 재산세의 과세기준인 공정시장가액 비율을 공시가격의 60%로 결정함에 따라 주택별로 올해 재산세가 얼마나 오르고 내릴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이에 대해 행안부는 올해 주택분 재산세의 인상.인하폭은 주택 별 공시가격이나그동안의 납부세액 등에 따라 다르게 적용된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전체적으로 보면 수도권 소재 주택의 경우 75.5%인 약 440만호가 오르고141만호가 내리는 반면 지방 소재 주택은 80%인 592만8천호가 내리고 15 0만호 정도가 오르게 된다.

 

올해 공시가격 하락과 세율 인하 등에도 불구하고 재산세가 오르는 주택은 세부담 상한제에 따라 지난해 산출세액의 30~70%만 냈기 때문이다.

 

하지만 올해 재산세가 늘어나는 주택 590만호 가운데 88.7%(524만호)는 재산세증가율이 5% 미만에 그칠 것으로 예상된다.

 

또 6억원 초과 주택의 경우 지난해 22만7천호의 세 부담이 전년보다 50% 늘어났지만, 올해에는 작년보다 세 부담 상한인 30%까지 재산세가 늘어나는 주택이 전체의0.2%인 2만9천호에 그칠 것으로 행안부는 내다봤다.

 

주택별로 보면 서울 강남구 타워팰리스(전용면적 245㎡, 공시가격 34억3천800만원)의 경우 지난해 도시계획세 등을 포함한 전체 재산세가 1천146만원이었지만 올해에는 1천222천원으로 6% 오른다.

 

또 도봉구 북한산아이파크(134㎡, 공시가격 7천9천800만원)는 올해 재산세가 226만원으로, 지난해(206만원)보다 9% 늘어난다.

 

성남 분당구 서현시범단지(85㎡, 3억9천600만원)는 작년 47만원에서 올해 50만원으로 6% 증가한다.

 

반면 양천구 목동 3단지(95㎡, 6억7천500만원)는 작년 225만원에서 올해 177만원으로 21% 줄어들고, 서초구 래미안아파트(84㎡, 5억4천900만원)는 150만원에서 129만원으로 14% 낮아진다.

 

지방 소재 아파트의 경우 부산 남구 대우푸르지오( 148㎡, 3억1천800만원)가 87만원에서 65만원으로 25% 줄고, 광주 동구 금호아파트(165㎡, 2억400만원)는 48만원에서 38만원으로 20%, 경남 김해 푸르지오2차(149㎡, 2억4천100만원)는 55만원에서45만원으로 18% 떨어진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정치일반李대통령 “대한민국 행정 중심엔 지방정부…모든 주민 만족할 성과 내달라”

정치일반대통령실 “감사원 정책감사 폐지…직권남용죄 엄격히 적용”

정치일반전북도, 복권기금 녹색자금 공모 3개 시·군 사업 선정… 국비 14억 확보

정치일반새만금개발청, 핵융합에너지 연구기지 경쟁력 모색

경제일반[건축신문고]건축설계변경, 언제까지 건축사가 안고가야 하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