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일반기사

[노노 청춘] 치매 예방 무용 살풀이, 노년 우울증 해결

우리 가락이 잔잔히 울려퍼지는 한 연습실. 할머니들이 강사의 지도에 따라 동작 하나 하나를 따라 하느라 여념이 없다.

 

구순례씨(80·전주시 평화동)는 3년 전 남편을 먼저 저 세상으로 떠나보낸 뒤 날마다 눈물을 흘리고, 때론 택시를 타고 묘소를 찾아가는 등 우울증이 심해 간병인이 뒤따라 다니는 중이었다.

 

구씨는 어느 날 시누이를 따라 춤학원(호남 국악원, 우리춤 체조)에 갔다가 어르신들이 열심히 춤 연습하는 것을 보고 춤을 배우게 됐다. 이 학원장 김윤정씨(전주대 평생교육원 교수)는 우울증이 심한 어르신을 보고 처음엔 선뜻 받아줄 수가 없어 고심하며 망설이기도 했다고 한다.

 

김기화(85)·김기덕(78)·김기조씨(74) 등 시누이 세 명과 함께 구씨는 하루도 빠지지 않고 학원에 다니며 치매 전문 무용인 살풀이와 손뼉 치기 연습을 하며 심적 안정을 찾아갔다. 차츰 표정이 밝아지고 건강도 좋아져 갔다. 춤에 재미를 붙인 구씨는 "춤을 안 추면 병이 재발하는 것 같아요. 춤이 없으면 살아가는 의미가 없지요"라며 이제는 춤으로 인해 건강을 되찾고 병원 갈 일도 없어졌다고 한다.

 

시누이 김씨도 "춤이 약이고 병원이라니까요"라며 "올케 건강한 모습을 보니까 한시름 놓인다"고 덧붙였다.

 

"혼자된 할머니들은 우울증을 겪는 사람이 많은데 춤을 배우면 즐거움 때문에 아플 겨를이 없어요. 조금 더 일찍 춤을 알았다면 우울증을 앓지 않았을 텐데."

 

구씨는 늦은 나이에 춤을 맛들인 게 사뭇 아쉬운 표정이었다. 하지만 구씨는 젊은 사람도 힘들어 한다는 살풀이를 6개월 만에 터득했고 한국 춤 지도사 자격증까지 땄다.

 

김윤정 원장은 "은은하게 흘러나오는 리듬으로 엔도르핀이 생기고 박자 맞추기는 뇌세포 호흡에 도움이 돼 어르신들의 건강과 치매예방에 좋다"고 설명했다.

 

/서영복 기자(금암노인복지관 실버기자단)

 

전북일보
다른기사보기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정치일반李대통령 “대한민국 행정 중심엔 지방정부…모든 주민 만족할 성과 내달라”

정치일반대통령실 “감사원 정책감사 폐지…직권남용죄 엄격히 적용”

정치일반전북도, 복권기금 녹색자금 공모 3개 시·군 사업 선정… 국비 14억 확보

정치일반새만금개발청, 핵융합에너지 연구기지 경쟁력 모색

경제일반[건축신문고]건축설계변경, 언제까지 건축사가 안고가야 하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