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화옵션상품인 키코(KIKO)에 가입한 기업의 손실이 눈덩이처럼 불어나 1년새 배로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13일 금융감독원이 국회 기획재정위 김광림(한나라당) 의원에게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작년 8월 1조6천943억 원이던 키코 손실은 올해 8월 현재 3조3천528억 원으로 97.9%나 증가했다.
이는 올해 들어 만기가 돌아온 키코 계약이 늘어난데다 작년 이후 올 상반기까지 환율 상승이 계속돼 환율이 오를수록 손실액에 커지는 키코 계약의 구조상 시간이 지날수록 피해액이 커진데 기인한 것으로 분석된다.
이에 따라 작년 8월 1조509억 원이던 평가손실은 올해 8월 4천191억 원으로 줄어든 반면 실제 손실이 발생한 실현손실은 6천434억 원에서 2조9천337억 원으로 4.6배 수준으로 급증했다.
특히 올해 8월 현재 피해액 3조3천528억 원 중 대기업이 9천157억 원인 반면 중소기업은 2조4천371억 원으로 전체의 72.7%를 차지할 정도로 중소기업에 집중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기업들이 만기 전에 손실을 한꺼번에 정리하기 위해 키코 계약을 청산함에따라 피해업체는 작년 517개에서 올해 102개로 줄었고, 계약 잔액도 79억 달러에서 14억 달러로 감소했다.
한편 김 의원과 금감원이 키코피해모임 가입회사 40개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소속기업의 순익은 매출액 증감폭 이상으로 감소해 키코손실이 영업실적 악화에 상당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기업의 지난해 매출은 글로벌 금융위기에도 불구하고 20.8% 증가했지만 순익은 173.5% 감소했다. 올 상반기의 경우 매출은 26.7%, 순익은 224% 각각 줄어들었다. 또 2007년 272억 원이던 납세실적이 작년에는 102억 원으로 감소했다.
김 의원은 "키코손실 기업의 경영상태를 파악하고 정부 지원이 잘 작동하는지 점검해야 한다"며 "수도권을 중심으로 한 환위험 관리교육을 지방으로 확대실시하고신용평가시 영업.매출액 비중 상향조정, 환위험 관리상품에 대한 정부 인증기준 마련 등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