많은 금융 기업이 올해 실적이 지난해에 비해나아질 것으로 보고 있다.
24일 대한상공회의소에 따르면 최근 국내 금융기업 210개사를 대상으로 '2010년금융산업 전망'을 조사한 결과, 은행업계의 68.8%와 증권업계의 62.4%가 올해 실적이 지난해보다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지난해와 비슷할 것이라는 응답은 은행의 24.1%, 증권의 31.2%인데 비해 감소할것이라는 부정적인 전망은 각각 7.1%, 6.4% 수준으로 낮았다.
이에 비해 보험업계와 카드업계는 각각 57.6%, 50.0%가 올해 실적이 지난해와비슷할 것으로 전망했으며, 실적이 증가할 것이라는 전망은 각각 35.3%, 39.4%로 상대적으로 낮았다.
실적 증가를 전망하는 요인으로는 '경기회복에 따른 금융시장 활성화'(72.3%)가많이 꼽혔고, '신규상품 개발ㆍ판매 증대'(11.5%), 'M&A(인수합병) 통한 경쟁력 향상'(7.7%), '글로벌 정책공조 유지'(7.7%) 순으로 지목됐다.
실적 감소 요인으로는 '가계부채 증대 지속'(42.9%), '부동산 자산버블ㆍ경기위축'(28.5%), '업종간 경쟁심화'(14.3%), '유럽발 금융위기 우려 등 신용경색'(14.3%) 순으로 답했다.
업계별 실적 증가 요인으로는 은행의 경우 '자산건전성 제고에 따른 대손비용절감'(39.3%)과 '금리인상으로 인한 수신확대'(35.0%) 등을 들었다.
증권은 '국내 주식투자 증가'(37.7%)와 'CMA 등 주거래계좌 증가'(33.0%) 등을,보험은 '은행권 DTI 규제 등에 따른 주택자금 수요 증가'(38.3%)와 '주식시장 변동성 증대로 인한 변액보험 판매증가'(36.7%) 등을 꼽았다.
올해 국내 금융시장의 안정화를 위해 필요한 조치로는 '확장적 정책기조를 유지해야 한다'(35.3%)는 응답이 가장 많았고, '금리안정'(25.3%)과 '공적기금 조성 확대'(14.1%)도 거론됐다.
금융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서는 '자산건전성을 강화해야 한다'(62.3%)는 응답이 많았다.
대한상의 관계자는 "올해는 경기가 회복세를 나타내고 금융시장도 안정되는 등금융산업 전망은 다소 밝은 편"이라며 "정부는 경기 회복을 위한 거시경제정책의 일관성을 유지하고 금융 및 외환시장 불안정성 해소를 위한 정책을 지속적으로 펴야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