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일반기사

'주역' 태인본, 세상밖으로?

김해정 교수 "완판본 조사중 문고판 10권 발견" …이태영 교수 "문고판은 대중화된 책"

김해정 우석대 명예교수가 주역 태인본을 보여주며 기자에게 설명하고 있다. (desk@jjan.kr)

「주역(周易)」 태인본으로 추정되는 문서가 김해정 우석대 명예교수에 의해 발견됐다. 태인본은 민간에서 판매용으로 인쇄한 책인 방각본(坊刻本) 중 전국적으로 가장 먼저 태인에서 만들어진 문서.

 

김 교수는 완판본에 관한 책을 조사하던 중 '주역'이라는 제목을 가진 문고판 10책이 발견됐다며 주역 본문만 있고, 서문, 발문, 판권지가 없는 상태라 지배문서(책의 앞·뒤 표지 속에 들어있는 재활용한 폐지)로 확인한 상태라고 말했다. 책이 오래 되어서 판권지나 출판일자를 가늠할 수 없을 때엔 그 표지 속에 숨어있는 지배문서를 찾아보는 것이 일반적이다. 무슨 책의 폐지였는가를 조사해 그 원문의 출처를 밝혔던 것.

 

김 교수는 주역에 1794년 태인 현감으로 부임했던 조항진씨의 호가 기록에 남아있는 점을 볼 때 이는 태인본이며, 그의 활동 연대를 봐도 병진년이 1796년임을 알 수 있게 한다고 설명했다. 「주역」 태인본으로 추정되는 이 문고판은 본래 한 질(12책 24권). 그러나 3~4책은 찾지 못했다. 책의 크기는 목판본으로 14.5cm x 20cm으로 1책 분량은 116쪽이다. 한자로 된 원문은 큰 글자는 한 줄, 그에 대한 주(註)는 두 줄로 쓰여져 있다.

 

김 교수는"이로써 태인에서 칠서(七書)가 간행됐다는 사실을 확인하게 된 것 같아 흐뭇하다"며 "칠서의 나머지인 「대학(大學)」, 「중용(中庸)」, 「논어(論語)」, 「맹자(孟子)」, 「시전(詩傳)」, 「서전(書傳)」 등도 찾아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

 

그러나 이를 「주역(周易)」 태인본으로 단언하기 어렵다는 주장도 있다. 이태영 전북대 교수는 "이를 「주역」 태인본이라고 보기는 힘들다"며 "1700년대 후반 판매용으로 대중화된 문고판이 나왔다고 보기엔 무리가 있다"고 주장했다. 이 교수는 이어 언제, 어디에서 찍었다는 기록이 없는 데다 나머지 칠서도 발견된 바가 없고, 주역이 200여 년이 흘렀다는 점을 감안할 때 문서 상태가 양호한 것으로 보아 「주역」 태인본이라고 확정하기엔 아직 이르다고 말했다.

 

이 문고판이 실제 「주역」 태인본인지 아닌지의 여부는 앞으로 학계를 통해 충분히 검토돼야 할 것으로 보인다.

 

이화정
다른기사보기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자치·의회임승식 전북도의원 “인프라만 남은 전북 말산업특구 ‘유명무실’”

자치·의회김동구 전북도의원 “전북도, 새만금 국제공항 패소에도 팔짱만… 항소 논리 있나” 질타

국회·정당임형택 조국혁신당 익산위원장, 최고위원 출마 선언…“혁신을 혁신할것”

법원·검찰남편에게 흉기 휘두른 아내, 항소심서 집행유예

사건·사고‘골프 접대’ 청탁금지법 위반 의혹 전북경찰청 간부, 혐의없음 종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