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소 도매가격이 급등했다. 또 전체 생산자물가는 8개월째 상승했다.
한국은행은 7월 생산자물가 지수가 지난해 같은 달보다 3.4% 오른 것으로 집계됐다고 9일 밝혔다. 6월과 비교하면 0.1% 올랐다.
작년 동월 대비 상승률은 지난 5~6월 4.6%보다는 낮아졌지만 지난해 12월 이후 8개월째 오름세를 보였다.
특히 채소 가격이 작년 동월 대비 33.8% 뛰었고 한 달 전과 비교해도 14.7% 올랐다.
이중 무(175.6%), 마늘(151.6%), 배추(94.6%) 가격이 치솟았고 양파(49.4%), 시금치(41.1%), 토마토(38.8%), 피망(34.0%) 등도 많이 올랐다.
한은 경제통계국 이병두 차장은 "봄철 저온현상에 따른 출하량 감소에다 음식점의 수요 증가와 중국 현지 가격 상승 등으로 채소 가격이 많이 올랐다"고 설명했다.
계절 과일인 참외(31.8%)와 수박(15.8%)이 오르면서 과실류는 10.2% 상승했다.
곡물 가운데 쌀(-15.4%)과 보리(-4.4%)는 내렸지만 콩(33.7%)이 많이 올랐다.
축산물 중에서는 계란(-17.3%)과 돼지고기(-3.8%)가 하락했지만 오리고기(14.4%)와 닭고기(3.1%)는 상승했다.
수산식품의 경우 물오징어(-43.1%), 가자미(-41.7%), 넙치(-38.7%)가 내렸지만 고등어(33.5%), 조개(27.2%), 조기(22.0%)는 올랐다.
공산품 중에서는 프로판가스(53.7%), 부탄가스(36.0%), 경유(7.9%), 휘발유(5.0%) 등 석유제품이 일제히 올랐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