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일반기사

[전주세계소리축제] '판소리란 무엇인가' 로 34년만에 전주 온 조상현 명창

"옛부터 판소리는 전남, 전북은 농악 언제부턴가 전북이 판소리 고장으로"

"좋아하는 것과 아는 것은 분명 다릅니다. 그런 점에서 전주는 소리를 좋아하는 고장이지 아는 고장은 아닌 것 같습니다."

 

2일 오후 8시 전주한옥생활체험관에서 열린 '2010 전주세계소리축제' 조상현 명창의 '판소리란 무엇인가'. 일부러 어려운 제목을 가져다 붙이기 보다는 간단하면서도 명료한 제목을 직접 붙였다는 조명창은 폭포수 같은 성음과 사통팔달의 연기력으로 청중들을 사로잡는 무대 위 모습을 그대로 보여줬다.

 

"전주 뿐만 아니라 남원, 김제, 고창 등 전북이 국악의 고장이라는 것을 부인할 사람은 별로 없을 겁니다. 소리축제 이외에도 전주대사습놀이와 전국고수대회가 있지요. 거기에 학생대사습과 완산국악대제전까지 국악과 관련된 행사가 늘 왕성하게 이뤄지고 있지요. 국악이 뿌리 깊게 자리하고 있다 보니 시장이나 도지사가 바뀌어도 자연스럽게 국악의 텃밭으로 일궈지는 것 같습니다."

 

조명창은 "역사적으로는 판소리는 전남, 전북은 농악이었다"며 "언젠가부터 주객이 전도돼 전북이 우리나라 판소리의 못자리가 됐다"고 말했다. 그는 "판소리도 부익부 빈익빈"이라며 "판소리 하는 사람이 전라북도에 1000명이 있으면 다른 지역에는 2∼5명 있을 정도"라고 덧붙였다.

 

"많은 사람들이 국악은 지루하고 따분하고 뒤떨어진다는 선입견을 가지고 있습니다. 피아노는 6∼7살부터 시작하면서 국악은 멀리하다가 어른이 되어 갑자기 우리 음악을 들으려고 하니 어색할 수 밖에 없지요. 길 가다 아는 사람을 만나야 악수를 하는 것처럼 국악도 자주 들어야 합니다. 그런데 1주일에 한 번 하는 국악 방송에서 원형이 아닌 서양악기가 들어간 퓨전 음악이 흘러나올 때면 아쉽습니다."

 

그는 "퓨전음악은 전주비빔밥에 케첩, 치즈를 넣어서 비벼 먹는 것과 다르지 않다"며 "해외 여행을 가더라도 수백, 수천년 된 문화역사를 보지 않냐"고 반문했다.

 

전남 보성에서 태어나 정응민 명창의 문하에서 소리공부를 시작한 그는 1976년 '제2회 전주대사습놀이 전국대회'에서 대통령상을 수상했다.

 

34년만에 전주 나들이를 한 조명창은 3일 소리전당 연지홀에서 열린 소리축제 대표 프로그램 '천하명창전-21세기 살아있는 전설들'에 성창순 최승희 명창과 출연, '수궁가' 중 '범 내려오는 데부터 끝까지'를 불렀다.

 

 

도휘정
다른기사보기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사건·사고‘남원 테마파크 사업 뇌물 수수 의혹’⋯경찰, 관련자 대상 내사 착수

국회·정당도의회, 전북도 2036올림픽추진단 올림픽 추진 업무 집중 질타

사건·사고경찰, 술에 취해 경찰관 어깨 밀친 40대 체포

김제김제시, 하반기 전세자금 대출이자 지원사업 추진

부안부안군, 2026년 장애인 일자리 110명 모집…도내 군 단위 ‘최대 규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