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일반기사

[문화마주보기] 천상천하 유아독존

김동수(시인·백제예술대학 교수)

나는 누구인가? 태어날 때도 혼자 태어나 세상을 떠날 때도 혼자 떠난다. 그 누구도 대신해 줄 수 없는, 그 게 바로 나 자신이다. 내가 있음으로 하늘 위도 하늘 아래도 존재한다. 그래서 '천상천하 유아독존(天上天下 唯我獨尊)'이다.

 

하늘도 땅도 너와 나도 내가 있음으로 존재한다. 그러기에 내가 아닌 그 무엇도 나의 구원이 될 수 없으며, 내가 아닌 그 누구도 나의 의지처가 될 수 없다. 이런 절대 고독의 세계에 방기되어 있는 것이 나이기에, 내가 존귀한 존재가 될 수도 있고 또 그렇지 못할 수도 있다.

 

나무는 서 있다 / 길 아닌 길가에// 하늘과 땅뿐이로다/ 흔들려도 /지나가는 바람 붙들지 않고 // 어둠 속에서도/ 밤을 새워 스스로 길이 되는 // 나의 이 황홀한 가슴 / 누구도 건드릴 수 없다 // 나무는 서 있다/ 하느님처럼// 서 있는 나무가 곧 길이다. (졸시 「나무」전문)

 

세상을 살아가는데 그 누구도 아닌 내 스스로가 하느님이 되고, 내 스스로가 부처님이 되어야 한다. 이러한 절대 고독과 절대 존엄의 세계를 필자는 스스로 '황홀한 가슴'이라고 칭했다. 결국 나를 구성하는 것도, 나를 결정하는 것도, 나를 부정하는 것도 나다. 다른 누구도 아닌 나 자신이 스스로 길이 되고 하느님이 되어야 하는 실존적 고독. 그것이 나의 자존(自尊)이고 외로움이다.

 

석가모니 부처가 탄생 직후 사방으로 일곱 걸음씩을 걸은 다음, 오른 손과 왼 손으로 각각 하늘과 땅을 가리키며 '천상천하유아독존'을 선언하셨다. 이는 하늘 위와 하늘 아래 가장 존귀한 존재가 나요, 오로지 나만이 세상의 중심이 될 수 있다는 말씀이다.

 

하지만, 이 말씀 속에는 비단 석가모니 부처만이 아니라, 우리 중생들도 누구나 할 것 없이 그야말로 천상천하에 오직 홀로 높다는 뜻도 내포되어 있다고 본다. 어떤 특정한 사람만이 아니라 모든 사람이 다 그렇게 존엄하다는 '본래 부처설(本來佛)'을 통해 내가 곧 부처가 되어 부처처럼 살라는 뜻이다. 신분제도가 엄격한 고대 인도 사회에서 이는 인간의 존엄과 평등에 대한 일대 선언이 아닐 수 없었다.

 

흔히 안하무인이며 독선적인 사람을 일컬어 '유아독존'이라고도 하지만 이것은 본래의 뜻과는 거리가 먼 해석이다. 부처님은 사람이 천상천하에서 가장 존귀한 존재이며 그 존재가치는 세상의 그 무엇과도 바꿀 수 없이 위대하다는 것을 깨우치기 위해 세상에 오셨기 때문이다.

 

"세상이 모두 고통스러우니(三界皆苦) 내 마땅히 이를 편안하게 해 주리라(吾當安之)"고 부처님은 말씀하셨다. 그러나 진정 자신의 고통을 치유해줄 사람은 그 누구도 아닌 자기 자신뿐이다. 모든 사물을 귀하게 보면 한 없이 귀하지만, 하찮게 보면 하찮은 존재가 된다. 공주가 되느냐 하녀가 되느냐, 이는 오로지 나의 마음에 달려 있다. 내가 천상천하유아독존이니까.

 

/ 김동수(시인·백제예술대학 교수)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문화일반이희숙 작가, 따뜻한 위로의 여정 담은 그림동화책 ‘소녀와 일기장’ 출간

문화일반부안 문학의 뿌리를 조명하다…최명표 평론가 ‘부안문학론’ 출간

정읍정읍 아진전자부품(주), 둥근마 재배농가 일손돕기 봉사활동 펼쳐

정치일반김 지사 “실질적 지방자치 위해 재정 자율성 확대 필요”...李 대통령에 건의

정치일반김관영 지사 “특별자치도, 지방소멸 막는 제도적 실험대 될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