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배신 그리고 비극…'환상교향곡'으로 부활
상상할 수 있는 인간은 현실에서는 이룰 수 없는 일을 꿈으로 꾼다. 사랑하는이에게 완전 사랑받는 꿈, 새처럼 나는 꿈, 초능력이 있어서 악당을 혼내주는 꿈 등. 그래서 <신밧드의 모험> , <스파이더 맨> , <원더우먼> , <해리포터> , <손오공> , <홍길동> 같은 이야기들이 있는 것이다. 환상의 세계, 판타지는 그래서 재미있는 것이다. 상상세상이 없으면 어떻게 세상의 발전이 있으리! 부족한 능력은 그런 세계를 상상하며 이루고 싶어하는 것이 창작의 한 면이기도 하다. 베를리오즈는 짝사랑을 환상교향곡으로 표현했다. 그러다보니 교향곡의 표준양식인 4악장 틀에 맞출 수가 없어 5악장으로 작곡했다. 음악으로 꾼 꿈의 대강 이야기는 1악장은 '꿈, 열정'이라는 표제로 사랑하는 이가 생겼다는 기쁨, 번뇌의 음악이고, 2악장은 '무도회'로서 사랑에 빠진 이가 무도회에서 사랑하는 이를 찾는 음악. 왈츠인데 교향곡에 왈츠를 쓴 것은 당시로서는 혁신적인 발상이었다. 3악장은 '전원 풍경'으로서 들판의 평온한 느낌과 사랑하는 이의 배신에 대한 걱정, 동요를 잉글리쉬 혼(English horn)과 오보에 등의 악기로 표현했고, 4악장 '사형장으로의 행진'은 주인공이 배신한 사랑하는 이를 죽인 죄로 단두대에 끌려가 사형당하는 이야기. 단두대의 칼날이 '쿵'하고 떨어지는 느낌은 악장 끝부분에 포르티시모(ff) 화음으로 묘사했다. 5악장은 '마녀의 밤, 축제의 꿈-마녀의 론도'이니 자신의 장례식에서 마녀들이 추는 무서운 춤을 보게 되고 사랑하는 이도 그곳에서 만난다는 음악. 장례식의 종이 울려 퍼지고 성가 <분노의 날(dies irae)> 이 이어지다가 이 모든 이야기가 환상임을 알려주니-!
파리에서 가장 촉망받는 작곡가가 된 베를리오즈는 흥행 실패와 불운으로 인기가 시들해진 해리엇 스미드슨과 결국 결혼했다. 그러나 환상 속의 그녀는 안타깝게도 알코올 중독자가 되어 있었고, 결혼은 몇 년 지나지 않아 깨지고 말았다. 스미드슨이 죽자 가수 마리 레치오와 재혼했으니 베를리오즈의 환상적인 사랑은 '환상교향곡'이라는 음악은 남긴 셈이다.
교향악으로 들려준 베를리오즈의 환상! 그는 표제음악의 창시자라고도 불리며 19세기, 20세기 표제음악 작곡가들의 모델이 된다. 그러나 표제음악은 어느 시대에도 있었다. 멀리 16세기에도 프랑스 파리에서 유행했던 샹송의 한 종류인 프로그램 샹송(Program Chanson)은 서정적인 사랑노래를 비롯한 서사적 노래, 외설적 노래 혹은 거리의 소음 등을 표현한 노래였다. 한 예로 클레망 자느캥(Clement Janequin·1485경-1560경)의 '새들의 노래'는 새들의 짹짹거림과 지저귐으로 가득 차있는 음악이다. 르네상스 시대 유럽 전역을 풍미했던 이탈리아의 마드리갈(Madrigal)도 '가사그리기' 라는 기법으로 가사에 표현되어있는 자연 정경이나 사랑의 느낌등을 음악으로 묘사한 음악이었다. 광고음악으로도 자주 쓰이는 비발디의 <사계> 가 사계절의 느낌을 표현한 표제적 음악임은 말할 것도 없고 고전음악의 전형인 베토벤의 <전원교향곡> 도 전원의 느낌을 음악으로 표현한 표제적 음악으로 논의된다. 다만 그와 같은 표제음악 경향은 낭만시대에 한층 더했고 베를리오즈는 그와 같은 음악을 앞장서서 이끈 것이다. 표제음악은 자연의 풍경이나 시, 그림, 전설, 동화, 환상 등을 소리로 그려내는 음악이기에 시대나 장르에 구애받지도 않고 특별히 정해진 형식도 없다. 전원교향곡> 사계>
/ 신상호(전북대 음악학과 교수)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