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일반기사

김복성씨의 농사 철학

"뿌린만큼 거두리라"

 

"거름 중에 가장 좋은 거름은 발걸음입니다." 김복성씨는 하루도 거르지 않고 밭에 나가는 것이 첫 번째 꼽는 철칙이다. 원로 농사꾼들이 되뇌는 '벼는 농사꾼의 발걸음 소리를 듣고 자란다'는 믿음을 떠올리게 한다.

 

농사꾼의 관심과 정성이 들녘의 풍흉을 가른다는 생각도 논밭의 현장을 누벼온 세월이 가르쳐준 교훈이다. 김복성씨가 관리하는 경작지는 40-45곳 정도. 보통 사람이면 경작지의 위치마저 헷갈릴 만하지만 아침부터 밤까지 빠짐없이 순회하는 것이 주요 일과이다.

 

"각 경작지마다 어느 곳에 돌이 있고 풀이 있는지, 또 어느 곳이 습하고 건조한지 환합니다. 매일 현장을 확인하고 지형에 맞는 적절한 조치를 취합니다."

 

준 만큼 받고, 뿌린 만큼 거둔다는 만고의 진리도 내면의 진리로 자리잡은 지 오래다."밭에는 퇴비와 거름을 충분히 줍니다. 어찌 보면 당연한 일이지만 많은 농부들이 사실상 맨땅에 씨를 뿌리는 경우가 많거든요." 대지는 오히려 준 것 보다 더 많은 것을 되돌려 주는 경우가 많았다. 주변의 농사꾼들은 단위면적 당 생산량에서 김복성씨를 따라갈 사람이 없다고 입을 모은다.

 

억대 농사꾼의 농사 철학은 참 평범하다. 다만 요행을 바라거나 알아도 실천하지 못하는 데서 하수와 고수가 갈린다는 사실을 다시금 깨닫게 만든다.

전북일보
다른기사보기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문화일반이희숙 작가, 따뜻한 위로의 여정 담은 그림동화책 ‘소녀와 일기장’ 출간

문화일반부안 문학의 뿌리를 조명하다…최명표 평론가 ‘부안문학론’ 출간

정읍정읍 아진전자부품(주), 둥근마 재배농가 일손돕기 봉사활동 펼쳐

정치일반김 지사 “실질적 지방자치 위해 재정 자율성 확대 필요”...李 대통령에 건의

정치일반김관영 지사 “특별자치도, 지방소멸 막는 제도적 실험대 될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