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일반기사

서영주 사진전 '空傷' 11일까지 전북예술회관

찰칵! 시골 폐교의 아련한 추억

부안 보림초 부림분교 (desk@jjan.kr)

옛날에는 교실이 부족해 마을회관을 빌려 사용했다. 여러 마을 아이들이 한 학교를 다니곤 했다. 가을 운동회는 학교의 가장 큰 행사. 운동장에는 국밥집, 막걸리집, 엿장수, 사탕장수들이 장날처럼 늘어섰다. 운동장에 묶어둔 새끼줄에는 학부모들이 쌈짓돈 꺼내 지폐를 꽂았다. 그 돈으로 학교 물건도 사고, 행사도 치렀다. 하지만 이같은 유년 시절을 추억하는 학교들이 하나 둘 사라지고 있다. 사진작가 서영주(39·전주 서일초 교사)씨가 문 닫는 학교를 앵글에 담아 첫 사진전'空傷'을 열고 있다. 폐허가 되다시피 한 학교에서 남겨진 동상에 주목한 그는 "어디에나 있지만, 텅 빈 곳에 남은 근대의 동상을 기록하고 싶었다"고 했다.

 

남원 주천남초 (desk@jjan.kr)

"공산당과 간첩이 호랑이보다 무섭던 시절, '반공방첩'이라고 적힌 연탄공장 담벼락과 축구공을 주고 받으며 놀던 시절이 있었습니다. 현재 폐교에 남아있는 이승복 동상이나 이순신 동상은 반공의 상징이거나 충효와 애국심의 상징이었죠. 이같은 기억을 망각하는 건 정체성을 잃는 것이나 똑같다고 봤습니다."

 

진안 좌산초 (desk@jjan.kr)

 

'못 먹고 못 입던' 시절 동물원에 얼씬도 못했던 아이들을 위해 마련한 사자·기린 등 동물 동상을 담은 사진까지 총 21점을 선보였다. 그는 "'학교가 무엇인가'에 관한 의미와 역할에 대한 질문은 계속돼야 한다"며 "앞으로도 폐교의 동상들을 새로운 접근으로 찍어낼 계획"이라고 밝혔다. 그는 전북대 미술교육과와 홍익대 미술사학과 대학원을 졸업한 뒤 12년 간 초교 교사로 재직하고 있다.

 

▲ 서영주 사진전'空傷' = 5~11일 전북예술회관 6실.

 

이화정
다른기사보기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군산"기초의원 다치면 '두번' 챙긴다"···상해보상 ‘겹치기 예산’

자치·의회서난이 전북도의원 “전북자치도, 금융중심지 지정 위해 분골쇄신 필요”

자치·의회최형열 전북도의원 “지사 발목 잡는 정무라인, 존재 이유 의문”

사건·사고‘남원 테마파크 사업 뇌물 수수 의혹’⋯경찰, 관련자 대상 내사 착수

국회·정당도의회, 전북도 2036올림픽추진단 올림픽 추진 업무 집중 질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