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일반기사

[함께 부자되는 투자지혜] 자산 현황은 삶의 성적표

재무상태표는 강 사장 부부가 지금까지 살아온 성적표라 할 수 있다. 강 사장 부부의 경우 순자산이 6억1천5백만원으로, 같은 연령대의 평균 순자산규모 2억 5천만원보다는 다소 많은 편이나, 같은 소득계층의 평균 순자산규모 7억6천만원에 비해서는 적은 편이라 할 수 있다.

 

우리나라 대부분의 가정이 그렇듯이 강 사장 부부도 81%가 부동산에 치우쳐 있어 부동산 비중을 차츰 줄여나가는 자산 재배분 전략이 필요하다. 50대 전후 세대들이 2015년부터 은퇴가 시작되는 우리나라 인구구조를 보면 막연한 투자목적으로 구입한 부동산에 대해서는 처분하는 게 옳다.

 

재무상태표가 지금까지 삶의 결과물이라면 현금흐름표는 미래의 꿈을 가꾸어 갈 수 있는 지표라 할 수 있다. 강 사장이 매월 집에 가져가는 1천만원이라는 급여는 요즘처럼 어려운 경기에 상당히 큰 금액이다. 그러나 생활비, 교육비, 미파악 지출을 합하면 720만원으로 상당히 높은 편이라, 이러한 무분별한 소비지출과 사교육비를 과감히 줄일 필요가 있다.

 

사교육비 70만원과 미파악 지출 120만원, 생활비 10만원을 각각 줄이기로 합의했다. 그 중 100만원은 연금재원으로, 나머지 100만원은 자녀 결혼자금으로 활용하기로 했다.

 

강 사장 부부가 최우선 목표로 하는 자녀의 교육자금을 살펴보면, 대학교육 자금으로 두자녀 각각5천만원을 예상할 때 CMA 2천만원과 펀드 중 납입이 끝난 2천만원으로 각각 충당한다. 결혼자금은 펀드를 활용해 매월 적립식으로 준비하기로 했다.

 

강 사장 부부의 두 번째 목표인 은퇴에 대해서 살펴보자. 이들은 65세에 은퇴를 생각하고 있으며, 매월 250만원의 생활비를 쓰기를 희망한다. 그러나 개인사업자라 퇴직금도 없고, 준비한 개인 연금도 없다. 오로지 국민연금밖에 없다. 50대 초반인 강 사장은 초고령시대, 평균수명 100세 시대를 준비할 수 있는 마지막 시기가 바로 지금이다. 국민연금으로 노후 생활비의 20%를 충당한다고 가정할 때, 65세 시점에는 약12억원이 준비되어 있어야 월 250만원의 생활비를 쓸 수 있다. 미파악 지출에서 월 100만원 10년납 장기변액연금에 가입하고, 추후 처분할 아파트2의 현시세인 1억7천만원을 연금화해서 8% 수익률을 적용하면 65세 시점에는 희망 생활비의 85%를 연금으로 준비가 가능하다. 계획대로 실행만 한다면 교육자금, 결혼자금, 은퇴자금은 무난히 준비가 될 것이다.

 

/ 김미자(전북 CFP 포럼 한국재무설계)

 

전북일보
다른기사보기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정치일반李대통령 “대한민국 행정 중심엔 지방정부…모든 주민 만족할 성과 내달라”

정치일반대통령실 “감사원 정책감사 폐지…직권남용죄 엄격히 적용”

정치일반전북도, 복권기금 녹색자금 공모 3개 시·군 사업 선정… 국비 14억 확보

정치일반새만금개발청, 핵융합에너지 연구기지 경쟁력 모색

경제일반[건축신문고]건축설계변경, 언제까지 건축사가 안고가야 하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