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일반기사

감나무 2

나무도 한 해는 쉬고 싶은 것이다

 

올라 갈 때가 있으면

 

내려 갈 때가 있고

 

한 달이 크면 한 달이 작은 것은 자연의 이치요 순리다

 

선지 빛 감잎이 장광에 떨어지는 것을 보고, 영랑은 '어매, 단풍 들것 네.'하며 놀랐다. 감잎이 다 진 감나무는 가을의 또 다른 풍경이다. 가난하고 누추한 마을의 여기 저기 붉은 감을 단 감나무는 우리나라만이 가지고 있는 가을 서정이다. 우리 동네의 감은 거의가 다 먹감이다. 먹감은 자생적인 토종감이다. 우리 동네에서는 다른 감나무는 자라지 않는다. 내가 단감나무를 한 그루 집에다가 심었더니, 감이 안 열리고 몇 해만에 죽고 말았다. 접시 같이 납작한 접시감나무가 몇 그루가 앞산에 있기도 하고, 요즘 구례 하동에서 많이 나는 어른 주먹만 한 끝이 뾰쪽한, 우리들이 '장두 감' 이라고 부르는 감이 찬수네 앞산 감나무 밭에 한그루 있었고, 수수감이 정수네 집 샘 머리에 한그루 있을 뿐이었다. 정수네 집에 있는 수수감은 어찌나 달던지, 우리들이 늘 욕심을 내는 감이었다. 그 감은 달고, 물기가 많았다. 그 감으로 동네 아이들 설사를 멈추게 하기도 했는데, 그 감은 오래 간수 하거나 저장 할 수가 없는 게 흠이다.

 

마을 곳곳에 있는 먹감은 열리기도 많이도 열린다. 주로 곶감을 깎는다. 붉게 읽어 갈수록 감 한쪽이 먹빛이 들어가는데, 그래서 그 감을 먹감이라고 불렀을 것이다. 감 중에는 똘 감이 있다. 똘 감은 곶감으로 깍지도 않는다. 떫기가 지독해서 잘 먹지도 않는다. 똘 감은 살보다 씨가 많다. 서리 맞은 똘 감은 지붕 위에 보관 해두었다가 추운 겨울날 내려다 먹었다.

 

감나무가 돈이 될 때에는 고욤나무에다 감나무를 접 붙였다. 고욤나무는 감나무 과다. 잘 자라고 강해서 사람들은 고욤나무를 가꾸어 적당하게 크면 고욤나무에다가 질이 좋은 감나무를 접붙여 가꾸었다. 고욤을 먹기도 하는데, 고욤을 따다가 작은 단지에 가득 넣어 두었다가 겨울에 수저로 퍼 먹기도 했다.

 

감을 딸 때는 감 망을 만들어 땄다. 감 망은 모자 같은 자루를 만들어 긴 장대 끝에 달아 높이 달린 감을 땄다. 감을 딸 때는 감나무 가지가 툭툭 잘 부러졌는데, 오히려 그것이 다음해에 감을 많이 열 개 하는 전지 구실을 했다. 감은 그 해에 새로 길어 난 새 가지에서 감이 열리는데, 감을 딸 때 감가지가 부러짐으로써 많은 가지가 새로 돋아난다. 감나무가 잘 부러진다고 해서 단단하지 않은 것은 아니다. 동네에서 빨래방망이나 다듬이나 떡살도 감나무로 많이 만든다. 잘 부러지지만 의외로 단단하다. 감나무로 가구를 만들었는데, 여자 속살처럼 흰 바탕에 먹물 자국 같은 무늬가 그림 같아 감나무 장롱이나 가구는 비싼 값이 나갔다.

 

가을 일이 끝나 가면 감을 딴다. 하루 종일 딴 감을 방에다가 쏟아놓으면, 방안이 환했다. 감이 그렇게 방 가득 쌓이면 동네 어머니들은 품앗이로 감을 깎았다. 밤을 새워 감을 깎을 때 우리는 곶감을 깎을 수 없는 물렁물렁한 감을 가려 소쿠리에 담는 일을 했다. 물렁물렁한 감은 먹기도 하고, 썰어 강가 바위위에 말려 겨울에 먹었다. 그 것을 감 쪼가리라고 했다. 방 가득 쌓인 감을 밤새워 깎아 놓으면 아버지는 아침 소죽을 끓이며 그동안 다듬어 놓은 싸리나무 꼬챙이에 감을 꿰어 헛간이나 비가 잘 들이치지 않은 처마 끝에 매 달았다. 붉은 감이 굴비모양으로 엮어져 처마 끝에 매달려 있는 모습은 참으로 고즈넉한 농촌의 서정이 아닐 수 없었다. 그렇게 며칠 씩 감을 깎아 건조를 시키고 나면 감을 할머니 젖가슴처럼 쪼글쪼글 말라 갔다.

 

감은 자연으로 자라는 우리나라 많은 과일들이 그렇듯이 해 갈이를 정확하게 하는 편이다. 나무들도 해갈이로 잎을 피운다. 우리 동네 앞에 커다란 정자나무가 있는데 정자나무는 씨가 열리는 해는 잎이 그리 좋지 않다. 나무를 잘 모르는 사람들이 그런 나무들을 보고 나무가 죽어 간다고 오해를 하는 것이다. 나무도 한 해는 쉬고 싶은 것이다. 올라 갈 때가 있으면 내려 갈 때가 있고, 한 달이 크면 한 달이 작은 것은 자연의 이치요 순리다. 감이 많이 열린 해는 감이 작고, 감이 적게 열린 해는 감이 컸다. 그 또한 자연의 순리와 이치다.

 

/본보 편집위원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정치일반李대통령 “대한민국 행정 중심엔 지방정부…모든 주민 만족할 성과 내달라”

정치일반대통령실 “감사원 정책감사 폐지…직권남용죄 엄격히 적용”

정치일반전북도, 복권기금 녹색자금 공모 3개 시·군 사업 선정… 국비 14억 확보

정치일반새만금개발청, 핵융합에너지 연구기지 경쟁력 모색

경제일반[건축신문고]건축설계변경, 언제까지 건축사가 안고가야 하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