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일반기사

국민 79.5% "우주개발 위해 1만원 이상 부담용의"

63.4% "더 과감히 투자해야"…84.2% "한국형발사체 개발 지지"

(서울=연합뉴스) 신호경 기자 = 국민 10명 중 6명 이상은 우리나라 첫 우주발사체 나로호(KLSV-Ⅰ) 성공을 계기로 우주개발 사업에 더 과감한 투자가 이뤄져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또 대다수가 차기 프로젝트인 '한국형 발사체(KLSV-Ⅱ)' 개발 계획을 적극 지지했다.

연합뉴스가 한국리서치에 의뢰, 나로호 발사 성공 직후인 지난달 30일부터 이달 1일까지 전국 성인 남녀 1천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서 응답자의 63.4%가 "예산 증액을 통해 더 과감한 우주개발 투자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는 '현재 투자 수준을 유지해야 한다'는 주장(32.3%)의 두 배에 해당하는 높은 수치다.

특히 '국민 1인당 부담하는 적정한 우주개발 비용'으로 응답자의 50.1%가 연간 1만원이라고 답했고, 2만원(18.1%), 5천원(12.9%), 3만원(11.3%)이 뒤를 이었다.

현재 우리나라 국민 1인당 우주개발 투자 비용은 연간 4천원 내외로, 미국(14만원), 프랑스(5만원), 일본(3만원) 등에 비해 턱없이 적은 실정이다.

응답자의 84.2%는 한국형 발사체 개발 사업을 지지했고, 63.8%는 이 계획을 2∼3년 정도 앞당기는데 찬성했다. 2020년대 초중반께 실현을 목표로 추진되는 무인 달 탐사 계획에 대한 지지율도 67.5%로 집계됐다.

응답자의 78.6%는 "나로호 발사 성공으로 우주발사체 개발에 대한 지지도가 높아졌다"고 답했고, 72.8%는 "나로호 개발을 통해 우리의 우주개발 수준이 발전했다"고 평가했다.

그러나 현재 우리나라 우주개발 기술에 대한 평가는 냉정했다. 응답자의 절반 이상(54.0%)이 국내 우주기술 수준을 미국, 러시아 등 이 분야 선진국의 '50% 이하'로 인식하고 있었다.

투자가 가장 시급한 것으로 '위성개발 및 위성영상 활용 분야'(50.1%)가 꼽혔고, 향후 바람직한 우주개발 방식으로는 절반에 가까운 응답자(49.8%)가 '독자개발과 국제협력 병행'을 지지했다. '독자적 기술개발'(28.0%)이나 '우주선진국과의 국제협력'(21.5%) 등 한 쪽만 선택한 비율은 훨씬 낮았다.

이번 조사는 유·무선전화를 통한 전화면접 방식으로 이뤄졌으며, 신뢰수준 95%에 오차 범위는 ±3.1%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정치일반李대통령 “대한민국 행정 중심엔 지방정부…모든 주민 만족할 성과 내달라”

정치일반대통령실 “감사원 정책감사 폐지…직권남용죄 엄격히 적용”

정치일반전북도, 복권기금 녹색자금 공모 3개 시·군 사업 선정… 국비 14억 확보

정치일반새만금개발청, 핵융합에너지 연구기지 경쟁력 모색

경제일반[건축신문고]건축설계변경, 언제까지 건축사가 안고가야 하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