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일반기사

대출 가구 60% "원리금 상환 때문에 생계에 어려움"

전체 가구 57.1% 금융기관서 대출…7.7%는 과다부채

 

금융기관에서 작년에 돈을 빌린 가구가 전년보다 늘어나 전체 가구의 절반을 훌쩍 넘어섰다. 부채 가구의 60%가량은 원리금 상환에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행이 25일 발표한 `2012년 가계금융ㆍ복지조사(부가조사)' 결과로는 금융기관 대출을 받은 가구는 전체의 57.1%다. 전년 54.0%보다 3.1%포인트 증가했다.

이번 조사는 작년 12월 전국 2천119개 도시 가구를 대상으로 이뤄졌다.

대출용도는 거주주택마련이 34.3%로 가장 많았다. 그다음은 생활자금 25.4%, 전월세보증금 12.6%, 사업자금 12.2% 등이었다. 주택 관련 대출이 절반에 가까운 46.9%다.

지난해 은행에 신규대출 또는 만기연장대출을 신청한 가구는 전체의 30.0%였다. 이 가운데 23.0%는 대출신청액 일부만 받았고, 2.4%는 아예 받지 못했다.

은행에서 원하는 만큼 돈을 빌리지 못한 이유로는 `낮은 소득수준'이 35.7%, 담보부족(33.7%), 신용상태(17.3%) 등 순으로 많이 꼽혔다.

은행 대출이 모자라는 가구 가운데 45.4%는 상호저축은행이나 신협, 새마을금고, 상호금융, 보험사, 대부업체 등에서, 25.5%는 지인 등에게서 부족자금을 융통했다. 금리가 높은 제2, 제3금융권으로 내몰린 것이다.

대출 원리금 상환액이 가계 총수입의 40% 이상을 차지하는 과다부채가구는 부채 보유 가구의 13.1%, 전체 가구의 7.7%다.

지난 2009년 조사에선 과다부채 가구가 부채보유 가구의 14.5%, 2010년 조사에선 17.6%였으며 2011년엔 조사하지 않았다.

한은 관계자는 과다부채가구가 줄어든 데 대해 "그동안 가계의 가처분 소득이 증가하고, 금리가 내려서 이자부담이 감소했으며, 일부 거치기간이 연장된 데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고 설명했다.

또 이번 조사에 따르면 부채 가구의 18.0%는 작년에 원리금을 제때에 갚지 못한 전력이 있었다. 4회 이상 연체 가구도 4.7%나 됐다.

58.9%는 작년에 원리금 상환으로 생계에 어려움이 있었다고 응답했다. 62.3%는 원리금 상황에 어려움이 있을 것이라고 답해 가계부채 문제가 악화할 것임을 시사했다.

작년에 보유 부동산 가격이 내렸다고 응답한 가구는 34.7%(크게 하락 8.2%)다. 올랐다고 답한 가구 24.4%(크게 상승 5.1%)를 10.3% 포인트 웃돌았다.

1년 후 부동산 가격을 묻는 항목에서는 54.0%가 `현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했다. 이어 `하락 전망' 28.1%, `상승 전망' 17.9%였다.

5년 후 부동산 가격이 `상승할 것'이라는 견해는 38.1%로, `하락할 것'이라는 견해(26.2%)보다 11.9% 포인트 많았다. `단기 하락 장기 상승 전망'이 대세를 이룬 것이다.

무주택자 가운데 향후 내 집 마련이 가능할 것이라는 응답은 67.0%다.

내집 마련 소요기간은 5년 이내가 26.9%로 가장 많았다. 그다음은 5~10년 미만 26.2%, 10~15년 미만 7.7%, 15~20년 미만 3.9%, 20~30년 미만 2.4% 순이었다.

`향후 10년 이내에 내 집을 마련할 수 있다는 응답은 53.1%로 지난해(52.5%)와 비슷했으나 `내 집 마련이 불가능할 것'이라는 가구는 작년(29.8%)보다 3.2% 포인트 늘어난 33.0%였다.

정부가 경제정책 추진 때 가장 먼저 고려할 사항으로는 `물가 및 부동산 가격 안정' 41.9%, 경제성장 29.5%, 고용 확대 19.2%, 소득분배 9.4% 등 순이었다.

전년과 비교하면 경제성장이 8.1% 포인트 증가했지만 `물가 및 부동산 가격 안정' 비중은 9.6% 포인트 줄었다.

가계가 겪는 가장 큰 경제적 어려움으로는 `물가상승' 30.7%, 경기침체 19.9%, 소득감소 19.2%, 고용불안 8.2%, 부동산가격 하락 5.5% 등이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사건·사고‘남원 테마파크 사업 뇌물 수수 의혹’⋯경찰, 관련자 대상 내사 착수

국회·정당도의회, 전북도 2036올림픽추진단 올림픽 추진 업무 집중 질타

사건·사고경찰, 술에 취해 경찰관 어깨 밀친 40대 체포

김제김제시, 하반기 전세자금 대출이자 지원사업 추진

부안부안군, 2026년 장애인 일자리 110명 모집…도내 군 단위 ‘최대 규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