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갑 아버지와 늦둥이 딸 '선비의 노래' 함께 부른다
정가는 가곡과 가사, 시조를 아우르는 아름다운 우리 소리. 약국에 갇혀 살다시피한 최씨는 답답함을 풀기 위해 친구의 소개로 8년 전부터 전주남성합창단에 들어갔다. 그 영향으로 '목소리가 큰' 딸에게 성악을 시켜보려다 '성격을 차분하게 만들어주고자' 시조로 눈을 돌려 이선수 전북정가풍류회 대표를 소개받았다. 그는 "정가의 매력에 빠지려면 한문부터 제대로 익혀야 한다는 스승의 지도 방식이 눈에 들었다"고 했다.
부녀는 이날 가곡'우조 언락·우락·우편', '계면 편수대엽'과 가사와 시조인 '백구사','죽지사'를 번갈아 소화한 뒤 평시조 '청산은'과 사설시조'팔만대장'을 함께 부른다. 그는 "다른 장르의 경우 슬픈 노래는 축 가라앉고 좋은 노래는 기분이 좋아지는 반면 정가는 기뻐도 넘치지 않고 슬퍼도 눌러서 표현하되 빳빳한 힘이 있는 게 특징"이라며 "여름 내내 흘린 땀방울이 오시는 관람객들에게 청량제가 됐으면 한다"고 당부했다.
신용문 우석대 교수가 해설을 맡은 이번 공연엔 전라풍류회 회원인 오승용(해금) 신유경(가야금) 곽영종(장고) 최명호(대금) 고성모(피리) 임영란(거문고)씨가 함께 선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