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일반기사

2013 전주세계소리축제 프로그램 발표

8개국 여성 보컬 참여 야심찬 개막공연 / 판소리 무대 40%…해외 초청 2배 늘어

▲ 5일 열린 2013 전주세계소리축제 프로그램 발표회에서 박칼린 집행위원장이 개막공연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사진 왼쪽부터 김형석·박칼린 집행위원장, 박재천 소리축제 프로그래머. 사진제공=소리축제 조직위

'2013 전주세계소리축제'(10월2~6일 한국소리문화의전당·전주 한옥마을)가 '아리랑'을 주제로 한 대형 공연으로 무한도전을 시도한다. 국내 연주자들은 '아리랑'을 월드뮤직으로 작·편곡하고, 외국 연주자들은 각각의 장르에 '아리랑' 선율을 덧붙여 대규모 공연으로 거듭나게 한 프로젝트. 개막 공연'아리아리랑 소리소리랑'은 "갈라 콘서트 보다는 주제가 있는 공연으로 탈바꿈시키는 게 낫다"는 박재천 소리축제 프로그래머의 의지와 "전 세계 여성 보컬들을 한 자리에 모아내는 공연을 하고 싶었다"는 박칼린 집행위원장의 아이디어가 결합된 무대.

 

지난해 유네스코 세계무형문화유산에 등재된 '아리랑'을 다루는 공연은 거의 없을 것이라고 본 박 프로그래머는 강권순(정가) 강효주(민요) 방수미(판소리) 웅산(재즈 보컬리스트) 알리(대중가수) 등은 물론 라우렌 뉴턴(독일) 사가 유키(일본) 인디라 마이크(인도) 등 8개국 보컬 여제들을 30인조 오케스트라와 80인 합창단과 함께 세운다. 전 공연 실황의 현장 중계와 유튜브 공개까지 가미된 야심찬 글로벌 프로젝트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전통 판소리에 관한 참신한 기획력이 눈에 띄지 않는다는 평가를 의식한 듯 조직위는 우리 소리의 입지를 강화하는 데에도 신경썼다. 총 26개국 250여 개 공연 중 전통 판소리 40%, 월드 뮤직 30%, 기타 30%로 안배한다는 방침. 박재천 프로그래머는 "실제 전체 공연 시간 중 전통 공연이 차지하는 게 60%가 넘는다. 판소리 명창의 무대가 전부가 될 수 없고, 생활 속에 국악이 있다는 것을 증명하는 공연이 많아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우리 시대를 대표하는 중견 소리꾼들을 만나볼 수 있는 '판소리 다섯 바탕'(3~5일 학인당)에 유수정(흥보가) 임현빈(수궁가) 조주선(심청가) 김미나(적벽가) 박지윤 모보경(춘향가) 명창의 꽉 찬 무대는 올해도 기대를 더한다. 옹골진 소리로 무대를 쥐락펴락할 '젊은 판소리 다섯 바탕'(3~5일 한옥생활체험관)에서는 김미진(심청가) 박인혜(흥보가) 이소연(수궁가) 조선하(춘향가) 김도현(적벽가)이 초청됐다. 김영재 (거문고·해금 산조) 강정렬(가야금 산조) 명인과 황은숙(가야금 산조) 이항윤(대금 산조)의 '산조의 밤'(3~4일 향교·소리문화관)에서는 한옥의 기와를 타고 담장을 넘어가는 명인들의 농익은 연주를 만날 수 있다.

이례적으로 올해 해외 아티스트들이 2배 이상 더 많이 찾게 된 것은 한아세안센터가 주관하는'2013 아세안 축제'(10월5~6일 전주 풍남문광장·한국소리문화의전당 놀이마당) 전주 유치에 입은 공이 크다. 브루나이·캄보디아·인도네시아·라오스 등 10개국 100여 명이 풍성한 공연·전시를 이어낸다.

 

국악계 슈퍼스타를 발굴하는 '소리 프론티어'(상금 2000만원·3일 소리전당)에서는 '니나노난다', '두들쟁이 타래', '반' 등 본선에 오른 8개 팀이 격돌한다. 우승 팀은 울산월드뮤직페스티벌에서 해외 마케팅을 할 수 있도록 주선한 것은 진일보한 부분.

 

더불어 2개 팀 공연을 하나로 결합시킨'더블빌'의 신설도 눈길을 끈다. 박재천 프로그래머는 "연주자간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상호 교류할 수 있는 기회를 주고자 한국음악과 월드뮤직을 결합시켰다"고 설명했다. '바이날로그'(한국)와 '뮤지카쉬'(헝가리), 앙상블'여류'(한국)와 '쿠드쉬 에르귀너 트리오'(터키&시리아)처럼 공통분모를 가진 장르를 묶어 비교하며 감상하는 즐거움이 있다.

이화정
다른기사보기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군산"기초의원 다치면 '두번' 챙긴다"···상해보상 ‘겹치기 예산’

자치·의회서난이 전북도의원 “전북자치도, 금융중심지 지정 위해 분골쇄신 필요”

자치·의회최형열 전북도의원 “지사 발목 잡는 정무라인, 존재 이유 의문”

사건·사고‘남원 테마파크 사업 뇌물 수수 의혹’⋯경찰, 관련자 대상 내사 착수

국회·정당도의회, 전북도 2036올림픽추진단 올림픽 추진 업무 집중 질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