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일반기사

오스갤러리, 도예가 김용문·김용택 시인 초청전 25일까지

거친 막사발과 섬세한 시의 만남 / 전북대 오스스퀘어·삼례문화예술촌

▲ 전북대 오스스퀘어에서 '도자와 시의 만남'전을 열고 있는 김용택 시인(왼쪽)과 도예가 김용문 씨 .

시(詩)가 또 도공의 마음을 움직였나 보다. 오스갤러리(대표 전해갑)가 25일까지 전북대 오스스퀘어와 삼례문화예술촌 내 문화카페 오스에서 열고 있는 '도자와 시의 만남'은 도예가 김용문(58)과 '섬진강 시인' 김용택(65)이 의기투합해 마련한 전시. 김용문이 2007년 신경림 시인과 열었던 '시는 시 도자로 다시 태어난다'의 연장선으로 도자기에 시를 새겨 전시하고 기록으로 남겨보자는 취지다. 옹기토와 장작가마 등만 사용한 그의 도자에 오감과 추억을 무르녹인 김 시인의 시를 새긴 100여 점과 그의 최근작 200여 점을 함께 완상(玩賞)할 수 있게 됐다.

 

홍익대에서 도예를 전공할 때부터 대중들의 관심에서 비껴있는 막사발에 푹 빠진 그는 30년 넘게 막사발 세계화 프로젝트를 진행 중이다. 1988년부터 거의 대부분 사재를 털어 경기도 오산에서 '세계 막사발장작가마축제'를 열어온 그는 "꾸밈이라고는 찾아볼 수 없지만 투박하고 자연스러운 맛이 깃든 막사발을 보노라면 서민들의 애환을 보는 것 같다"며 극찬해왔다. 가스가마 대신 장작가마를 고집하되 생활에 사용되는 도자기를 강조해 장독대에 머물던 옹기로 고기구이판, 물컵, 밥그릇, 양념통, 보도블럭 등을 만들어 보급했다. 삼례문화예술촌에서 빚은 투박하면서도 군더더기 없는 그의 막사발과 접시, 소품 등에 김 시인의 친필로 쓰여진 시까지 얹어져 특별함을 더한다. 섬진강에 닻을 내리며 동심을 유지해온 김 시인의 시'봄', '입추','발' 등은 여전히 농촌 공동체의 생명력과 자연의 치유력을 맑고 아름답게 그려낸다.

 

김용문은 15~18일 완주 삼례문화예술촌과 막사발미술관에서 '완주 세계 막사발 장작가마 심포지엄 2013'도 연다. 국내외 작가 60명과 지역 주민이 직접 작품을 제작하고 관람객들과 공유하는 자리다.

이화정
다른기사보기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군산"기초의원 다치면 '두번' 챙긴다"···상해보상 ‘겹치기 예산’

자치·의회서난이 전북도의원 “전북자치도, 금융중심지 지정 위해 분골쇄신 필요”

자치·의회최형열 전북도의원 “지사 발목 잡는 정무라인, 존재 이유 의문”

사건·사고‘남원 테마파크 사업 뇌물 수수 의혹’⋯경찰, 관련자 대상 내사 착수

국회·정당도의회, 전북도 2036올림픽추진단 올림픽 추진 업무 집중 질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