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일반기사

양정복씨 - 복효근 시인 〈따뜻한 외면〉

안아주고 보듬어서 슬픔까지도 나누다

△슬픔 그리고 울음

 

내가 꽃피는 일이

 

당신을 사랑해서가 아니라면

 

꽃은 피어 무엇하리

 

당신이 기쁨에 넘쳐

 

온 누리 햇살에 둘리어있을 때

 

나는 꽃피어 또 무엇하리

 

(‘당신이 슬플 때 나는 사랑한다’중에서)

 

처음 복효근 시인을 만난 것은 1993년 〈시와 시학〉에서 나온 첫 시집 〈당신이 슬플 때 나는 사랑한다〉를 통해서였다. 시집의 제목이 된 시 ‘당신이 슬플 때 나는 사랑한다’의 부제는 ‘용담꽃’이다. 한약재로 쓰이는 뿌리를 씹으면 용의 쓸개만큼이나 쓰기 때문에 붙여진 꽃말이 바로 ‘당신이 슬플 때 나는 사랑한다’이다.

 

이제 막 삼십이 된 나는 시를 읽으면서 마음이 아렸다. 4월, 세상에 첫손을 내미는 나뭇잎, 초록보다 노랑물이 더 많아 여리디 여린 새잎처럼 나의 이십대는 쉽게 상처 입는 시기였다. 아마도 시인 또한 ‘눈두덩 찍어내며 주저앉는’ 이십대를 보냈나보다. 누구보다도 슬픔을 알기에 그대의 슬픔까지도 사랑하는구나 생각했다. 나의 상처로 나 또한 누군가의 슬픔을 더 깊이 사랑하리라 결심하며 내 이십대는 위로받았다.

 

△더욱 흥건해진 슬픔 그리고 울음

 

7번째 시집을 낸 시인은 이제 오십에 닿았어도 여전히 상처 많아 아프다. 시집 곳곳에 흐르는 울음은 수직으로 가파르기도 하고(‘매미’) 흥건히 세상을 적시기도 한다.(‘소쩍새 시 창작 강의’)

 

이렇게 울음이 세상을 적시도록 상처가 아픈 이유는 천지사방의 길이 모두 막혔거나, 세상이 우리가 지켜야할 꿈과는 반대로 흐르기 때문이다. 시인은 길이 막혔을 때 포기하거나 주저앉지 못하고 하늘을 향해 한사코 길을 내는 기도의 자세를 지킨다. ‘오직, 이 길 끝에 한 줌 재도 연기도 남지 않기를’ 다짐하면서 ‘무거운 오호츠크 기단을 맞서는 흰빛의 연대’를 보여주거나(‘자작나무 숲의 연대’), 또는 기어이 가야할 곳이 있기에 제 살을 깎으며 거슬러 올라가느라 상처투성이가 되고야 만다.

 

기어이 가야 할 그 어딘가가 있어

 

여울목을 차고 오르는 눈부신 행렬 좀 보아

 

잠시만 멈추어도 물살에 밀려 흘러가버릴 것이므로

 

아픈 지느러미를 파닥여야 하네

 

푸른 버드나무 그늘에서조차 눈 감지 못하네

 

오롯이 지켜야 할 그 무엇이 있어

 

〈중략〉

 

거친 물살에 제 살을 깎으며

 

강을 거슬러 오르네·(‘성(聖) 물고기’)

 

△내성적이고 두려움 많은 영혼

 

시인은 어쩌면 겁 많고 소심한 내성적인 사람일 것이다. 그러기 때문에 위기에 닥치면 그 동안 길러온 대응방법도 모두 소용없이 ‘천적에게서 몸을 감추는 대신/ 천적으로부터 까마득히 멀어지는 대신/ 동그랗게 제 몸을 말아서 슬픔의 팔다리와 주둥이와 항문과 성기를/ 제 몸 안으로 욱여넣고 검은 콩알로 변신(’공벌레‘)’하고 싶다.

 

그런 시인에게 ‘무거운 오호츠크 기단에 맞서거나’ ‘제 살을 깎으며 강을 거슬러 오르는 것’은 대단한 용기가 필요한 일이다. 그러나 아무리 힘들고 어렵다 하여도 가지 않을 수 없다. ‘흰빛, 얼음, 은빛 비늘, 눈빛’ 등 백색 이미지로 나타나듯이 그 길은 순수한 영혼을 가진 자라면 외면할 수 없는 길이기 때문이다.

 

그러기에 치마를 뒤집어쓰고 뛰어내리는 심청이처럼 뛰어내린다. 순수한 영혼이 시키는 대로 올바른 길을 향해 한 몸을 던진다. ‘두려움에 떨며/ 떨다가 질끈 눈 감고 뛰어내리는/ 저 작은 물줄기들의 투신에/ 폭포는 비로소 장엄폭포가 된다’(‘폭포’) ‘매달렸던 그 끝에서/ 아쉬운 듯 두려운 듯 망설이다/ 손을 놓고 뛰어내리는 물방울’·(‘소리 그림자’)

 

△더욱 따뜻해진 위로

 

비를 그으려 나뭇가지에 날아든 새가

 

나뭇잎 뒤에 매달려 비를 긋는 나비를 작은 나뭇잎으로만 여기고

 

나비 쪽을 외면하는

 

늦은 오후·(‘따뜻한 외면’)

 

맘 없는 말로 표현하고 애정 없는 눈길로 위로하는 것은 손을 베는 풀잎처럼 사람을 아프게 한다. 모르는 척 외면해 주는 것이 더 큰 배려가 될 때도 많다. 누구나 자신이 모자라는 것을 잘 안다. 유난히 쉽게 아픈 생살을 안다. 모자라는 곳을 채우려는 노력을, 아픈 생살이 아물며 단단해지는 과정을, 모르는 척 지켜보는 것은 깊은 애정 없이는 불가능하다.

 

순도가 높기에 쉽게 상처 입는 영혼의 시인, 타인의 아픔까지도 내 아픔으로 공감하는 시인의 눈길이기에 그 위로 또한 더욱 따뜻해졌다.

 

퍼붓는 비를 피하겠다고 나비 한 마리가 숨어든 작은 나뭇잎, 힘없는 이가 이겨내기엔 녹록치 않은 현실의 공격을 피하겠다고 찾아든 곳 또한 부실하기만 하다. 힘겹게 견디는 그 시간을 외면으로 지켜보는 여유, 그 외면 속에서 이 겨울이 더욱 따뜻하다.

※ 양정복씨는 전주여고와 전북사대부고 국어교사를 지냈으며, 전북교원연수원을 거쳐 현재 완주교육지원청 장학사로 재직하고 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자치·의회임승식 전북도의원 “인프라만 남은 전북 말산업특구 ‘유명무실’”

자치·의회김동구 전북도의원 “전북도, 새만금 국제공항 패소에도 팔짱만… 항소 논리 있나” 질타

국회·정당임형택 조국혁신당 익산위원장, 최고위원 출마 선언…“혁신을 혁신할것”

법원·검찰남편에게 흉기 휘두른 아내, 항소심서 집행유예

사건·사고‘골프 접대’ 청탁금지법 위반 의혹 전북경찰청 간부, 혐의없음 종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