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일반기사

엄혁용 조각가 - 직지, 나무로 생명을 얻다

6일까지 전북대 예술진흥관

▲ 엄혁용 作

세계 최고의 금속활자였던 직지심체요절. 이 직지가 바로 현재세계에 남아 있는 금속활자 인쇄본 가운데 가장 오래된 책이다. 우리의 직지는 유네스코가 지정한 세계기록유산 가운데 해당 국가에 있지 않은 데도 선정된 유일한 예이다.

 

그 유산이 프랑스 국립도서관에서 사서로 일하던 재불사학자 박병선 박사(1923~2011)에 의해 1972년 발견됐고, 구텐베르크 성서보다 78년이나 앞선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금속활자본임을 증명했다.

 

박 박사의 선친은 전북도 2대 도지사를 지낸 박정근씨였으며, 그 뿌리 역시 전주였다. 그는 유물을 찾기 위해 평생 자신을 직지에 옮겨놓고 찾아나섰다.

 

‘직지, 오늘을 만나다’(2013년 12월31~1월6일 전북대 예술진흥관)는 유물과 인물, 즉 한국에 대한 작지만 나의 헌정과 같은 작품전이다. 전통적인 기법 위에 목조가 가진 다양한 예술성을 근저에 깔고 싶었다. 자연적이면서도 나무가 갖는 질긴 생명력과 그 질긴 생명력이 직지와 어떻게 합일될 수 있을 지 고민했다.

기본적으로 자연성을 살린 나무 위에 직지를 표현했다. 직지는 천년의 시공을 넘어 오늘의 생명력으로 승화됐으며, 자연과 직지가 둘이 아닌 하나로 생각하고 상감기법 등을 이용해 어울림을 노래한 것이다.

 

그 작업은 직지와 박 박사의 공준부분이었던 나무를 통해 직지의 영혼을 오늘의 관점에서 풀어냈던 긴 여정이기도 하다. 낡은 책 속에서 미래를 발견한 것이다.

 

△조각가 엄혁용씨는 홍익대 미술대학 조소과와 동 대학원을 졸업하고 원광대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전북대 예술대 교수로 재직중이다.

김원용
다른기사보기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문화일반[안성덕 시인의 ‘풍경’]분홍

군산"기초의원 다치면 '두번' 챙긴다"···상해보상 ‘겹치기 예산’

자치·의회서난이 전북도의원 “전북자치도, 금융중심지 지정 위해 분골쇄신 필요”

자치·의회최형열 전북도의원 “지사 발목 잡는 정무라인, 존재 이유 의문”

사건·사고‘남원 테마파크 사업 뇌물 수수 의혹’⋯경찰, 관련자 대상 내사 착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