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진문화재단 우리소리·가락 100회 특집 첫 공연…내달 7~23일
우진문화재단의 기획공연 ‘우리소리 우리가락’이 새해 첫 공연으로 발라드 판소리 ‘별소릴 다하네’를 들었다(2월 7일부터 23일까지 우진문화공간 예술극장).
지역 문화예술계 휴면기인에 ‘우리소리 우리가락’ 100회 특집 장기공연으로, 재단측이 소극장 레퍼토리의 가능성을 타진하는 공연이다.
우진문화재단의‘우리소리 우리가락’은 젊은 공연예술인들의 창작활동을 지원하기 위해 1995년에 시작했으며, 가야금·거문고·대금·해금 등 주요 국악과 피아노·바이올린·첼로 등 서양음악 연주자들이 이 무대에서 기량을 발휘했다.
발라드 판소리 ‘별소릴 다하네’는 판소리 수궁가를 재해석한 작품으로, 지난해 11월 공연 당시 관객들의 반응이 좋아 장기공연 도전에 나선다.
극적인 긴장감을 높이고 예술성을 보강했다. 양변기 하나만 설치된 미니멀한 무대에서 합죽선을 손에 쥔 배우가 4명의 생음악 연주단의 장단에 맞춰 울고 웃으며 삶의 희노애락을 풀어낸다. 마치 무당이 시나위반주단을 거느리고 한바탕 굿판을 벌이는 모습과 닮았다.
재단은 “배우의 장점을 찾아내어 객석과 연결시키는데 탁월한 재능을 가진 지기학 연출가와 젊은 국악작곡가 김백찬의 곡, 김대일 작창, 출연으로 완성된 이 작품이 21세기 국악공연이 나아갈 한 방향을 보여줄 것이다”고 소개했다.
발라드 판소리를 작창(作唱)하고 출연하는 소리꾼 김대일은 전주예술고와 전북대 한국음악과 출신으로, 국립민속국악원 창극단에서 전통 판소리를 바탕으로 한 다양한 창극 작품에서 주역을 맡으며 창극배우로 활동하고 있다.
전주를 중심으로 활동하고 있는 판소리 퍼포먼스그룹 미친광대(美親廣大)의 창단 동인으로 새로운 소리판을 만드는 실험적인 무대에도 적극적이다.
대본·연출을 맡은 지기학(국립민속국악원 지도단원)은 판소리 퍼포먼스 그룹 미친광대(美親廣大)의 대표. 지기학과 미친광대는 창단 이후 판소리 다섯바탕을 재해석하는 작업을 계속해 오고 있다.
판소리 심청가를 소재로 한 소리극 ‘싸아악!’, 춘향가를 소재로 한 소리극 ‘사(思)소년사(少年事)’를 발표했다.
판소리가 어렵고 지루하다는 편견을 넘어서 오늘의 관객과 이 시대의 삶의 이야기를 소통하는 새로운 개념의 소리판이 될 것으로 재단은 기대하고 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