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일반기사

[키워드로 보는 교육감 선거 (중) 대세론-책임론] 현직 프리미엄이냐 역전 발판 마련이냐

김승환 인지도 30% 대…상대적 우위 / '실정·불통' 등 부각땐 급변 가능성도

6월 4일 교육감선거의 관전 포인트는 ‘대세론’과 ‘책임론’이다. 재선 도전이 확실시되는 김승환 교육감이 대세론을 앞세워 낙승을 거둘 수 있을지, 범도민교육감추대위의 단일후보, 신환철 예비후보, 이미영 예비후보 등 나머지 입지자들이 현역 교육감의 실정과 약점을 파고들며 역전의 발판을 마련할 수 있을지 관심이 모아진다.

 

일단 김승환 교육감은 대세론을 앞세워 승부를 일찌감치 굳히겠다는 복안이다. 언론에서 실시한 각종 여론조사 결과 김승환 교육감의 인지도는 30% 대로, 나머지 입지자들에 비해 상대적인 우위를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한 교육계 인사는 “김 교육감의 불통 행보로 교육부와 대립각을 세우면서 손해본 것도 많지만, 다른 후보들에 대해 잘 알지 못하는 게 문제”라면서 “인물 경쟁력이 있다 하더라도 낮은 지지도에 덜미를 잡혀 있는 형국”이라고 지적했다.

 

김 교육감이 출마 선언을 최대한 늦추는 것도 상대적으로 인지도가 낮은 다른 예비후보들의 맹공에 휘말리지 않겠다는 전략적 선택이 아니냐는 관측이 나온다. 김 교육감이 다른 예비후보들과 정책 대결을 피하면서 상대적으로 지지율 고수라는 반사효과를 누리고 있다는 분석이다.

 

반면 ‘현역 교육감의 지지도는 아직은 안심할 수 없는 단계’라는 반론도 있다. 더욱이 ‘진보 프레임’에 치우진 현역 교육감의 경우 “현직 프리미엄을 등에 업었다면 현재 시점에서 지지도가 40% 이상 나와야 절대 우세라고 판단할 수 있다”면서 “확장성 면에서 한계를 보일 수 있어 방심하기엔 이르다”는 부정적인 시각도 없지 않다.

 

이에 따라 김 교육감을 제외한 나머지 입지자들이 앞으로 선거 구도를 뒤흔들 수 있는 대형 이슈를 선점할 수 있느냐가 관건이다. 이른바 김 교육감의 책임론에 관한 관심이 커지고 있는 이유이기도 하다.

 

특히 김 교육감의 재임기간에 전북지역 학생들의 학력 저하 논란이 끊이지 않았고, 교육부와의 갈등으로 인한 교육재정 부족·현장의 불만 팽배 등이 이어졌다는 점을 고려하면 책임론에 힘이 실릴 수 있다는 분위기다. 이로 인해 후발 입지자들이 김 교육감의 아킬레스건이기도 한 학력저하 및 사교육 난제 등을 단번에 아우를 수 있는 파괴력 있는 이슈를 제기하고, 유권자들이 여기에 호응을 보인다면 상황이 달라질 수도 있다.

 

한 선거 전문가는 “현 교육감이 싫든 좋든 진보프레임에 갇혀있는 만큼 확장성은 떨어진다”면서 “나머지 입지자들이 중도와 보수를 아우르는 이슈를 선점한다면 판세는 급변할 수도 있다”고 내다봤다.

이화정
다른기사보기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정치일반李대통령 “대한민국 행정 중심엔 지방정부…모든 주민 만족할 성과 내달라”

정치일반대통령실 “감사원 정책감사 폐지…직권남용죄 엄격히 적용”

정치일반전북도, 복권기금 녹색자금 공모 3개 시·군 사업 선정… 국비 14억 확보

정치일반새만금개발청, 핵융합에너지 연구기지 경쟁력 모색

경제일반[건축신문고]건축설계변경, 언제까지 건축사가 안고가야 하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