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일반기사

독거노인 어울림가정 '그룹-홈' 명암 (하) 문제점 및 대안 - 기존 경로당 이용자들 "쉴 곳 없다" 소외감 극심

입주 노인들 주인 행세에 공동생활 갈등 초래 / 빈 집 활용한 사업 추진 등 보완책 마련 필요

직장 때문에 서울에서 살고 있는 나모(59·김제시 죽산면)씨는 “시골에 어머님이 혼자 계셔 항상 걱정이었는데 그룹-홈이 생겨 마을 노인들이 같이 생활한다며 매우 좋아하셔 자식으로서 너무나 고맙고 감사하다”면서 “서울에서도 고향의 그룹-홈에 대한 자랑을 많이 하고 있으며, 주위 사람들이 매우 부러워 한다”고 말했다.

 

그러나 그룹-홈이 마냥 좋은 것만은 아니라고 항변하는 사람들도 다수 있다. 마을 주민들끼리 묘한 파벌이 생기고, 심지어 그룹-홈 이용자들 사이에도 반목과 갈등이 있다는 것.

 

주민 최모(83·김제시 월촌동)씨는 “기존 경로당을 개·보수해 그룹-홈으로 만들어 놓으니 그룹-홈을 이용하는 사람들에게는 좋을지 몰라도 평소 경로당에서 놀며 휴식을 취하던 다수의 노인들은 그룹-홈을 가기 싫어한다”면서 “그룹-홈이 마치 자기들 집인양 행세하는 사람들 때문에 우리 같은 사람들은 쉴 곳이 사라졌다”고 불만을 털어놨다.

 

또다른 주민 오모(80·김제시 백산면)씨는 “그룹-홈을 이용하는 사람들 사이에도 반목과 갈등이 있다”면서 “처음에는 자기들 집에서 먹을거리 등을 가져와 같이 나눠먹는 등 분위기가 좋았으나 시간이 지나면서 누구는 뭘 가져오는데 누구는 왜 아무것도 안 가져오느냐는 식의 눈총을 줘 그룹-홈에 가기가 싫다”고 말했다.

 

그는 “내가 뭐 안 가져가고 싶어서 안 가져가는 게 아니라 형편상 못 가져 가는 건데, 참으로 기분 나쁘고 자존심 상한다”면서 “그룹-홈을 이용하는 사람들 중에 나와 같은 처지를 당해본 사람들이 아마도 많을 것이다”고 덧붙였다.

 

그룹-홈 운영과 관련, 불만을 제기 하는 사람들은 대안으로 우선 그룹-홈을 개·보수 할 때 기존 경로당을 할 것이 아니라 요즘 시골에 많은 빈 집을 물색해 그룹-홈을 운영해야 한다고 제안한다.

 

어차피 그룹-홈 운영 목적이 독거노인들의 공동 생활인 만큼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는 경로당을 사용할 경우 기존 경로당을 이용하는 노인들은 갈 곳이 없어진다고 불만을 제기한다.

 

김제시가 현재 운영중인 그룹-홈은 전국적으로 관심을 받고 있다. 지난해 9월 12일에는 장옥주 청와대 보건복지비서관 등 관계자 3명이 김제를 방문, 그룹-홈 운영 전반에 대해 보고 받고 그룹-홈 2군데를 직접 방문 하는 등, 중앙에서도 높은 관심을 보이고 있는 사업이다.

 

따라서 그룹-홈이 전국적인 사업으로 확산되기 위해서는 이러한 문제점들을 주도면밀하게 파악한 후 개선, 보완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끝>

강현규
다른기사보기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자치·의회임승식 전북도의원 “인프라만 남은 전북 말산업특구 ‘유명무실’”

자치·의회김동구 전북도의원 “전북도, 새만금 국제공항 패소에도 팔짱만… 항소 논리 있나” 질타

국회·정당임형택 조국혁신당 익산위원장, 최고위원 출마 선언…“혁신을 혁신할것”

법원·검찰남편에게 흉기 휘두른 아내, 항소심서 집행유예

사건·사고‘골프 접대’ 청탁금지법 위반 의혹 전북경찰청 간부, 혐의없음 종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