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일반기사

"아이폰 6 부품·조립 비용 200∼247弗, 6+는 216∼263弗 추정"

마진율 69∼71%로 재작년·작년과 비슷

애플의 신제품 아이폰 6와 6 플러스의 부품 가격과 조립 비용을 합한 금액이 각각 200∼247달러, 216∼263달러일 것이 라는 추정이 나왔다.

 시장조사기관 IHS는 23일(현지시간) 이 두 제품을 분해해 어떤 부품이 사용됐는 지를 조사하는 방식으로 이런 추정을 내놨다.

 IHS는 저장용량 16 기가바이트(GB) 기준 아이폰 6의 재료비는 196.10달러, 조립비용은 4달러라고 추정했다.

 더하면 200.10달러가 되는 셈이다.

 또 저장용량 16GB 기준 아이폰 6 플러스의 재료비는 210.10달러, 조립 비용은 4.50달러라고 추정했다.

 합계는 215.60달러다.

 만약 128GB 모델을 기준으로 하면 재료비와 노무비의 합은 아이폰 6가 247.10달러, 아이폰 6 플러스가 262.60달러로 추산됐다.

 이 두 제품에 사용된 메모리는 마이크론과 하이닉스 등 여러 업체의 것인데, 애플은 1GB당 0.42달러에 플래시 메모리를 공급받고 있으리라는 것이 IHS의 추정이다.

 IHS의 추산에 따르면 아이폰 6와 6 플러스에 쓰인 '16GB 낸드 + 1GB LPDDR3'의 부품 가격은 15달러다.

 또 애플이 설계한 64비트 A8 프로세서는 20달러, '퀄컴 MDM9625M + WTR1625L + WFR 1620 + 앞면'은 33달러, 오디오 코덱, NFC 컨트롤러, 센서 등을 합한 유저 인터페이스와 센서 부품이 22달러, 브로드컴 BCM4345 등 블루투스와 무선랜 모듈이 4.50달러, '다이얼로그 + 퀄컴'의 전원 관리 장치가 7달러, 기타 다른 기계적 혹은 전기기계적 부품이 30달러 등이다.

 아이폰 6에 쓰이는 4.7 인치 1334×750 인셀터치 IPS LCD는 45달러, 아이폰 6에 쓰이는 5.5 인치 1920×1080 인셀터치 IPS LCD는 52.50달러다.

 카메라 모듈은 아이폰 6의 것이 11달러, 광학적 이미지 안정화(OIS) 기능이 있는 아이폰 6 플러스의 것이 12.50달러로 계산됐다.

 리튬 폴리머 배터리는 용량 1천810mAh인 아이폰 6의 것이 3.60달러, 용량 2천915mAh인 아이폰 6 플러스의 것이 4.60달러로 평가됐다.

 아이폰 6와 6 플러스 16GB 모델의 정가는 각각 649달러와 749달러이며, 미국에 서 이동통신사 서비스 2년 약정 조건으로 사면 각각 199달러, 299달러다.

 아이폰 6와 6 플러스의 64GB 모델은 이보다 100달러씩, 128GB 모델은 200달러씩가격이 높다.

 이를 바탕으로 마진율을 계산하면 아이폰 6의 16GB 모델이 69%, 128GB 모델이 71%, 아이폰 6 플러스의 16GB 모델이 71%, 128GB 모델이 72%인 셈이다.

 이는 재작년에 나온 아이폰 5와 작년에 나온 아이폰 5s의 마진율이 약 69%로 추정됐던 것과 비슷한 수준이다.

 다만 이런 계산은 재료비와 노무비만 따진 것으로, '제조원가'와는 전혀 다른 개념이다.

 제조원가에는 재료비, 노무비뿐만 아니라 연구개발비, 수수료, 감가상각비 등 관련 경비와 다른 요소들이 포함되기 때문이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정치일반李대통령 “대한민국 행정 중심엔 지방정부…모든 주민 만족할 성과 내달라”

정치일반대통령실 “감사원 정책감사 폐지…직권남용죄 엄격히 적용”

정치일반전북도, 복권기금 녹색자금 공모 3개 시·군 사업 선정… 국비 14억 확보

정치일반새만금개발청, 핵융합에너지 연구기지 경쟁력 모색

경제일반[건축신문고]건축설계변경, 언제까지 건축사가 안고가야 하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