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일반기사

가을볕으로 한나절

▲ 배귀선

감나무에 매달린 호박을 건사하는 넝쿨손. 바투 쥠이 옹골차다. 고구마 순을 추어올린다. 우두둑, 줄기마다에 내린 하얀 고독들도 따라 뽑힌다. 쇠해지는 귀뚜라미 소리에 밭 자락의 까마중도 서둘러 제 온 곳으로 갈 채비를 하는 텃밭.

 

수돗간 옆 자두나무에서 늦여름을 갉아먹은 쐐기가 미끄러진다. 내 생각의 실타래도 아득한 기억 저편으로 굴러간다. 옆구리 연한 살을 쏘인 것 같은 통증의 시간들. 나는 쐐기 한 마리와 함께 산다. 습관처럼 솟구치는 생각의 독점들 때문에 힘들었을 내 가족과 주변들을 향한 참회의 쐐기.

 

옆구리 쓰리는 횟수가 늘어나면서부터 나는 사람 목소리보다 텃밭의 생명들 속삭임에 귀 기울였고 통증을 잊게 하는 자두의 신맛에 익숙해졌다. 고추, 토마토, 땅콩, 단호박, 해갈음을 알리는 매화. 살갑고 사근사근하지 않아도 좋다. 눈으로 하냥 매만지다가 내려놓는 아쉬움은 섹스다. 지나온 허물들이 눈물샘에 들 때는 서둘러 하늘을 본다.

 

‘지이~나 가버린 이~일을 헤아려, 보오네~’ 손전화 노랫말이 텃밭을 덮는다. 왕치가 더듬이를 들어 낯선 소리를 벗겨낸다. 틀림없이 교장으로 재직 중인 지인일 것이다. 토요일만 되면 등산을 가자며 조르는 그는 한시도 가만있지 못하는 성미다. 나는 그에게 전화를 잘 받지 않는다는 지청구를 늘 듣는다. 전화에 연연하지 않는 것은 성격 탓도 있으나, 전화 올 곳도 특별히 기다려지는 전화도 없다. 그러나 8년 동안 폴더폰을 쓸 때는 폰걸님들의 목소리를 기다리는 일이 낙이었다. 그녀들이 스마트폰으로 스마트하게 바꾸라고 전화를 걸어 내 귀와 입의 거미줄을 걷어 주었다. 오랫동안 그녀들은 나를 찾았다. 그러나 폴더폰을 더 이상 고칠 수 없다는 판정은 결국 나를 스마트하게 했다. 스마트폰으로 바뀐 뒤부터 그녀는 멀어졌고 나도 전화에 무관심이다. 이러한 나를 보고 Y 교장은 사회생활 운운하며 성화다. 추어올리던 고구마 넌출을 놓고 토마토 지지대에 걸어놓은 전화기를 향해 간다. 받기도 전에 끊긴다. 액정에 나타난 이는 예상대로 Y 교장이다.

 

다시 벨이 울린다. ‘나는, 나는 처얼~없는 나는, 자유인인가~’ 가수 남화용의 ‘나는 자유인인가’ 노랫말에 끌리는지 왕치가 몸을 돌린다. 가만 바라본다. 왕치도 내 표정을 향해 투박한 더듬이 길게 뽑아 다가온다. 저 더듬이 사이로 여름이 머물다 갔고 가을이 오고 있다. 이 별에서 살아가고 사라지는 수많은 것 속에서 어떤 인연인가. 누가 저 이름을 나에게 주었는가. 나는 배귀선이고 너는 왕치. 노자는 ‘명가명 비상명’이라 하였으나, 어찌 이름 하지 않으면 기억할 수 있을까. 생과 사는 ‘비상명’이라 할지라도 과정은 이유이고 이름이다. 맑음도, 흐림도 뒤에 비를 두고 있듯 인식이 보이지 않을 뿐 너와 나, 무에 다르랴. 곁, 콩꽃 작은 입술이 푸르디푸른 휘파람을 분다.

 

“배 선생님, 학생들 시화전을 하는데 선생님의 시도 몇 편 보내주시면 고맙겠습니다.”

 

Y교장의 목소리다. 귀뚜라미 소리만큼이나 날 세울 줄 알았는데 의외다. 귓불에 걸려 유리구슬 몇 개 짤랑거릴 거라 긴장했던 귀가 순해진다. 그러나 웬 걸 한 마디 더 걸친다.

 

“아따, 근디 어쩐 일이다요, 전화를 두 번 만에 다 받고?”

 

“전화를 밭에 걸어 놓고 있었습니다.”

 

“늘 말하던, 그 시밭 말이오?”

 

감나무의 까치소리에 익어가는, 가을볕 한나절이다.

 

△배귀선 전북도민일보 신춘문예 수필 부문, '문학의 오늘'의 시 부문으로 등단했다. 현재 부안에서 다랭이 밭을 부치며 아이들에게 글쓰기를 가르치고 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문화일반이희숙 작가, 따뜻한 위로의 여정 담은 그림동화책 ‘소녀와 일기장’ 출간

문화일반부안 문학의 뿌리를 조명하다…최명표 평론가 ‘부안문학론’ 출간

정읍정읍 아진전자부품(주), 둥근마 재배농가 일손돕기 봉사활동 펼쳐

정치일반김 지사 “실질적 지방자치 위해 재정 자율성 확대 필요”...李 대통령에 건의

정치일반김관영 지사 “특별자치도, 지방소멸 막는 제도적 실험대 될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