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일반기사

소비자 상담, 제품 품질 관련 가장 많아

작년 전북지역 접수 3만여건 중 16% 달해 / 품목별로는 의류·섬유용품 3977건 '최다'

지난해 한국여성소비자연합 전북소비자정보센터(이하 전북소비자정보센터)를 통해 접수된 소비자상담 신청 중 제품 품질 관련 내용이 가장 많았고 상담 품목으로는 의류·섬유신변제품이 가장 많았던 것으로 분석됐다.

 

12일 전북소비자정보센터에 따르면 지난해 접수된 소비자상담 건수는 3만479건으로 전년대비(3만3222건) 8.3% 감소했다.

 

지난해 접수된 상담 건수를 연령별로 보면 가장 경제활동이 활발한 ‘30대~50대’ 소비자가 전체 상담의 78.9%(2만4033건)를 차지했고 20대(10.3%), 60대(7.6%), 70대(2.4%), 10대(0.5%), 80대 이상(0.5%)이 그 뒤를 이었다.

 

성별로는 여성소비자의 상담이 1만6155건(53.0%)으로 남성소비자(1만4324건·47.0%)보다 많았다.

 

상담사유별로는 ‘제품 품질’관련 내용이 5050건(16.6%)으로 가장 많았고 그 뒤를 이어 △청약철회 4549건(14.9%) △정보요청을 위한 상담문의 4525건 △소비자의 계약해제·해지 관련 문의 4497건(14.8%) △계약불이행 2547건(8.4%) △사업자의 부당행위 2450건(8.0%) △가격·요금 문의 1976건(6.5%) △AS불만 1940건(6.4%) △부당채권추심 651건(2.1%) △안전문제로 인한 상담 588건(1.9%) 등으로 집계됐다.

 

또한 가장 많은 소비자 상담이 접수된 품목은 의류·섬유신변용품으로 3977건(13.0%)에 달했다.

 

섬유의 기능성이 강화된 제품들이 출시돼 고가에 판매되고 있으나 실제 소비자를 만족시키지 못하는 품질관련 불만, 변심에 의한 청약철회 분쟁, 온라인 쇼핑거래에서 발생되는 제품 교환·환불·배송료 관련 문제가 꾸준히 접수됐다.

 

두 번째로는 정보통신서비스(3609건·11.8%)가 차지했다.

 

스마트폰 가입자가 4000만 명을 넘어서면서 페이백서비스의 불이행, 신규가입시 위약금 대납약속, 사은품 지급약속 미이행 등 판매점 및 대리점과의 분쟁이 많았으며 그 외 통화품질 불량의 상담도 접수됐다.

 

초고속인터넷서비스와 관련해서는 아직까지도 계약체결 과정에서의 과잉 마케팅, 계약 해지절차의 복잡함 등으로 소비자상담이 지속되고 있다.

 

이 외 문화·오락서비스(1983건·6.5%), 정보통신기기(1766건·5.8%), 식료품·기호품(1694건·5.6%) 등의 순을 보였다.

 

전북소비자정보센터는 지난해 접수된 상담건수 가운데 2만2976건(75.4%)을 해결했으며 직접적인 중재 및 조정처리가 진행된 건은 7480건(24.5%)이었다.

 

중재를 통해 1330건(4.4%)이 계약해제 및 해지처리를 받았으며 계약이행 982건(3.2%), 환급처리 973건(3.2%), 수리보수 779건(2.6%) 등도 이뤄졌다.

 

이외에도 교환 579건(1.9%), 부당행위시정 449건(1.5%), 배상 404건(1.3%) 등의 처리가 진행됐다. 그러나 중재에도 불구하고 소비자-사업자와의 합의가 불성립된 건이 1221건(4.0%)이었으며, 사건 의뢰 후 취하·중지를 요청하는 건은 223건(0.7%)으로 집계됐다. 또한 한국소비자원의 피해구제팀으로 이관된 건은 23건(0.1%)이었다.

강현규
다른기사보기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정치일반李대통령 “대한민국 행정 중심엔 지방정부…모든 주민 만족할 성과 내달라”

정치일반대통령실 “감사원 정책감사 폐지…직권남용죄 엄격히 적용”

정치일반전북도, 복권기금 녹색자금 공모 3개 시·군 사업 선정… 국비 14억 확보

정치일반새만금개발청, 핵융합에너지 연구기지 경쟁력 모색

경제일반[건축신문고]건축설계변경, 언제까지 건축사가 안고가야 하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