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일반기사

소비시장을 구축하자

▲ 김점동 변호사

국가재정은 권력자의 의지가 개입돼 지역 간에 차별화와 왜곡된 투자가 이루어 질 수 있지만 기업의 자금은 영리를 목적으로 하기 때문에 이득이 날 수 있는 곳으로 투자가 이루어지게 된다. 결국 민간 자본은 시장의 상황에 따라 투자가 이루어진다는 말이다.

 

그런 점에서 그럴듯한 호텔하나 없고, 대형 판매시설하나 없는 등 지역경제가 갈수록 침체하고 전국최낙후지역으로 전락한 것은 결국 우리 지역이 민간 자본에는 전혀 매력이 없다는 말과 같다.

 

그 원인을 필자는 우리 지역의 적은 인구와 그 분산적인 거주에서 찾을 수 있다고 본다.

 

인구 적고 분산돼 기업들 투자 꺼려

 

첫째 우리도 인구는 180여만 명으로 타 지역에 비해 인구가 적고, 둘째 대도시라 할 수 있는 전주시도 인구가 65만여 명에 불과하는 등 분산적으로 거주하고 있어 기업들이 대규모 투자를 하기에는 시장 자체가 너무 협소하여 대기업들이 투자를 꺼린다는 점이다. 100만 이상의 소비시장을 요구하는 대기업의 입장에서는 65만이나 그 이하의 인구로는 손익분기점을 맞추지 못하기 때문이다.

 

익산역 복합환승센터 건립무산·종합경기장 롯데 쇼핑센터 건립무산, 기타 새만금에서의 대규모 투자유치 무산 등이 직·간접적으로 이 시장의 협소성에 기인한다고 볼 것이다.

 

그리하여 해외 관광객 유치의 가장 중요한 요소라 할 수 있는 대형관광호텔이나 대형 판매시설하나 없으니 볼거리, 먹거리가 아무리 훌륭하더라도 외국인이 우리 지역으로 발길을 돌리지 않고 있는 것이다.

 

과거 우리나라 인구의 8~9%를 차지하며 번영을 구가하던 전북이 이제 전국의 3.6%에 불과한 영세한 도로 전락하고, 인구가 계속 감소한 것은 역사적, 환경적 요인으로 돌리더라도 소비시장의 분산성만은 우리의 의지로 극복할 수 있는 문제라고 본다.

 

우리 지역은 서부 새만금평야를 중심으로 전주·익산·김제·완주·군산·부안 등 140여만 인구가 그 사이에 산이나 커다란 강 등 장애물 없이 흩어져 거주하고 있다. 교통망의 정비 등을 통해 이를 단일한 경제권을 형성해 준다면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기업들이 앞다퉈 투자할 것이다. 100여 년 전 첫번째 교통혁명인 철도 건설에 있어 우리선조들의 미신적인 판단으로 호남선 전주통과를 거부함으로써 우리 지역의 침체를 초래하고 2000년 초에도 익산역 이전을 거부함으로써 또 한 번의 발전기회를 내쳤다.

 

이제 각 도시간 2시간대 주파를 목적으로 시작된 제2의 철도 교통혁명시대를 맞아 6개 시군의 중심점에 가까운 김제시 용지면, 부용역 부근에 혁신역을 설립하여 그 일대에 역세권을 개발하고 이를 중심으로 6개 시·군 140만 인구뿐만 아니라 충남 서천, 장항, 논산, 강경 등까지 거대한 단일 경제권을 형상한다면 갈 곳 없는 민간자본은 대규모로 우리 지역으로 밀려들 것이다. 그렇게 된다면 과거 선조들의 실패를 만회하고 우리지역도 새로운 도약의 계기를 맞이하리라 믿어 의심치 않는다.

 

교통망 정비 통해 단일 경제권 형성을

 

재정자금의 투자를 통해 새만금항공 등 우리지역의 하드웨어에 해당하는 사회 간접시설의 설립이 중요하긴 하다. 그에 맞춰서 소프트웨어인 소비시장 정비를 통해 민간자본을 유치함으로써 지역발전을 도모하는 것 또한 지역발전을 위해서는 필수불가결한 요소라는 점을 명심해야 할 것이다.

 

100년전, 10여년 전의 우리 선조, 선배들의 잘못을 되새겨보고 이제라도 우리에게 주어진 기회를 다시 한 번 놓치는 우를 범하지 않기를 바란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정치일반李대통령 “대한민국 행정 중심엔 지방정부…모든 주민 만족할 성과 내달라”

정치일반대통령실 “감사원 정책감사 폐지…직권남용죄 엄격히 적용”

정치일반전북도, 복권기금 녹색자금 공모 3개 시·군 사업 선정… 국비 14억 확보

정치일반새만금개발청, 핵융합에너지 연구기지 경쟁력 모색

경제일반[건축신문고]건축설계변경, 언제까지 건축사가 안고가야 하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