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일반기사

[사진으로 비교해 보는 우리 동네] 전라감영길 편

 

 

 

 

 

 

 

 

 

 

 

 

 

 

 

 

[사진으로 비교해 보는 우리 동네] 전라감영길 편

#표지.

[사진으로 비교해 보는 우리 동네] 전라감영길 편

#1.

전주. 호남제일성, 전라도의 수부, 감영이 있던 곳.

#2.

서울로 치면 ‘사대문 안’이라고 할 수 있는 전동·경원동·고사동·중앙동 일대는 전라도에서 가장 번화한 곳 중 하나였습니다.

#3.

‘원도심’으로 불리는, 지금은 다른 곳에 비해 쇠락한 이 지역은, 그래서 오히려 옛 모습을 간직한 ‘정겨운’ 곳이기도 합니다.

#4.

전주시는 풍남문~전라감영~풍패지관(객사)을 잇는 ‘전라감영 테마거리’를 조성할 계획입니다.

‘테마거리’ 착공을 맞아, 전주의 ‘감영길’을 지금과 비교해볼까 해요.

#5.

풍남문에서 출발할까요?

풍남문은 전주부성의 남문으로, ‘풍’자는 ‘풍패지관’의 ‘풍’입니다.

과거에는 이름 그대로 ‘문’의 기능을 했군요. 지금은 남쪽을 둘러싸고 있는 옹성과 풍남문 좌우의 성벽이 이 사진에서는 보이지 않습니다.

(1966년 10월 6일 촬영)

#6.

풍남문은 1978~80년 옹성과 좌우 성벽 일부가 복원됩니다. 22년 전의 모습은 지금과 크게 다르지 않군요.

(1994년 4월 30일, 동학농민혁명 100주년 기념행사)

#7.

풍남문은 오묘한 맛이 있습니다. 보는 사람 기를 죽일 정도로 웅장하거나 하지 않지만, 그렇다고 볼품없지도 않은 아름다움을 갖고 있습니다.

#8.

반대쪽, 그러니까 성문 안쪽에서 바라본 모습입니다. 문은 굳게 닫혀 있군요.

#9.

북쪽으로 복원 중인 전라감영 자리를 지나, 옛날 전주 최대의 번화가였던 옛 전주우체국(지금의 경원동우체국) 사거리로 가봅니다.

객사를 바라보는 방향인데, 왼쪽엔 풍년제과가 보이네요. 전북일보사가 주최한 ‘동방써커스단’ 공연 광고탑이 사거리 한가운데 있습니다.

(1969년 5월 15일 촬영)

#10.

쉴 새 없이 자동차가 지나다닙니다. 광고탑은 물론 사라졌지요.

#11.

같은 자리에서 방향만 틀어볼까요? 1960년대 전주 최고 상점가였던 거리입니다. 우체국 사거리에서 ‘청석동 파출소’까지 이어진 곳이죠. 저기 보이는 ‘이시계점’과 ‘매송당’은 지금도 있습니다.

(1972년 1월 6일 촬영)

#12.

같은 자리, 4년 뒤 모습입니다.

(1976년 7월 7일 촬영)

#13.

이곳은 2008년 ‘웨딩거리’로 조성됐습니다. 지금은 드레스, 미용, 귀금속 가게와 특이한 골목가게들이 많이 있습니다.

#14.

‘테마거리’의 종점, 풍패지관입니다.

(1966년 9월 17일)

#15.

오늘날은 시민 쉼터로 자리 잡았어요.

#16.

풍패지관에서 바라본 풍남문은 손에 잡힐 듯하네요. 이 거리가 ‘테마거리’로 바뀌면, 모습도 조금 달라지겠죠?

기획 신재용, 구성·촬영 권혁일, 제작 이권중

관련기사 전라감영 거리, 한옥마을처럼
전북일보
다른기사보기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문화일반이희숙 작가, 따뜻한 위로의 여정 담은 그림동화책 ‘소녀와 일기장’ 출간

문화일반부안 문학의 뿌리를 조명하다…최명표 평론가 ‘부안문학론’ 출간

정읍정읍 아진전자부품(주), 둥근마 재배농가 일손돕기 봉사활동 펼쳐

정치일반김 지사 “실질적 지방자치 위해 재정 자율성 확대 필요”...李 대통령에 건의

정치일반김관영 지사 “특별자치도, 지방소멸 막는 제도적 실험대 될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