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일반기사

"전북도·전주시는 청년 알바 안쓰나요?"

혁신도시 이전기관 지역인재 채용은 외치면서… / 서울시 등 타지역과 대조…도내 대학생들 실망감

대학생 김모 씨는 지난달 20일 전주시 자유게시판에 “전주시청에 아르바이트가 없어서 아쉽다”고 글을 올렸다.

 

김 씨는 “많은 여러 도나 시에서는 아르바이트 공고를 내고 있는데 전주는 찾아볼 수가 없네요”라며 “대학생들에게 (행정)근로를 체험할 수 있는 아르바이트를 제공해 주었으면 좋겠다”고 적었다.

 

전북도와 전주시 등 도내 자치단체들이 타 지역 지방자치단체와 달리 행정 아르바이트 모집을 하지 않으면서 도내 대학생들이 실망감을 표출하고 있다.

 

특히 공공기관 지역인재 35% 의무채용 법제화 등 청년 고용 확대에 나서고 있는 전주시의 경우 청년 아르바이트 등 당장 체감할 수 있는 정책은 등한시하고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여름방학을 맞은 대학생들에 따르면 방학기간중 가장 인기 있는 아르바이트는 바로 ‘관공서 아르바이트’다.

 

자체 면접이 없어 진입장벽이 없으며, 행정업무 보조 등 업무가 매력이 있기 때문이다.

 

공무원 시험을 준비하는 대학생들의 경우 공무원들의 생활을 옆에서 간접적으로나마 체험할 수 있어 추후 공무원 시험 면접 등에서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점도 관공서 아르바이트를 선호하는 이유다.

 

여기에 관공서 아르바이트는 4대 보험이 보장되는데다 행정업무를 배울 수 있고 칼 퇴근이 보장된다는 점에서 알바의 으뜸인 ‘꿀 알바’, ‘알바계 로또’라고까지 불리기도 한다.

 

지난달 초 서울시 25개 자치구가 480명을 선발한 여름방학 대학생 아르바이트 모집에는 무려 1만1759명이 몰리면서 24.5대 1이라는 역대 최고 경쟁률을 기록하기도 했다.

 

그러나 전북도와 전주시 등의 여름방학 아르바이트 모집공고는 감감 무소식이다.

 

김 씨 같은 몇몇 대학생들은 전주시 게시판에 “구청, 동사무소를 다 찾아봐도 아르바이트를 찾아볼 수 없다”는 내용의 글을 올렸다.

 

전주시에서 행정 아르바이트가 있었던 적은 손에 꼽을 정도다.

 

지난 2011년 시내버스 파업이 한창일 당시 특이한 전세버스 요금징수 아르바이트를 모집해 하루 8시간 2교대로 한 명 당 일당 3만6000원씩, 86만원의 월급 아르바이트를 운영했었다.

 

이에 앞서 2008년에는 단 한 차례 청년 일자리를 마련한다는 취지로 여름방학동안 하루 4시간 월 30만원의 아르바이트를 운영한바 있다. 그러나 이마저도 노동부 지원사업이었다.

 

전주시의 한 관계자는 “재정적인 문제와 어르신들 대상 공공근로 사업 등에 치중하다보니 행정 아르바이트에 소홀한 부분이 있는 것 같다”고 말했다.

 

전북도 관계자는 “업무가 일괄 전산화되기 전인 10년 전 쯤에는 서류와 기자재 정리 등 행정보조 아르바이트가 있었지만 업무가 전산화되면서 아르바이트 업무가 없어진 것 같다”며 “도 뿐만 아닌 도내 대부분의 지자체들도 사정이 마찬가지 일 것”이라고 밝혔다.

백세종
다른기사보기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자치·의회임승식 전북도의원 “인프라만 남은 전북 말산업특구 ‘유명무실’”

자치·의회김동구 전북도의원 “전북도, 새만금 국제공항 패소에도 팔짱만… 항소 논리 있나” 질타

국회·정당임형택 조국혁신당 익산위원장, 최고위원 출마 선언…“혁신을 혁신할것”

법원·검찰남편에게 흉기 휘두른 아내, 항소심서 집행유예

사건·사고‘골프 접대’ 청탁금지법 위반 의혹 전북경찰청 간부, 혐의없음 종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