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일반기사

청소년 대상 방문·전화 판매 주의해야

대학교 1학년인 김 모 양은 2016년 2월 29일 대학교 OT 때 방문판매사원이 방문하여 자격증 취득이 가능하다는 설명을 듣고 인터넷교육 계약 후 교육용 CD를 받았다. 이후 4월 중순경 사업자는 계약한 대금 40만원을 지불하라는 독촉문자를 발송했다. 김 모 양은 잊고 있던 미개봉 CD 반품과 계약취소를 요구했으나 사업자는 법적 취소기한인 14일이 경과했다며 취소처리 거부했다.

 

청소년 소비자 피해는 유동인구가 많은 전주 시내, 학교 내에서 주로 발생하며 취업을 빌미로 한 필수자격증이나 무료 피부테스트, 설문조사 등을 이용한 기만상술로 사회적·경제적 경험이 없는 청소년 소비자 대상을 현혹하고 있다. 본 단체에 접수된 미성년자 관련 소비자 상담 건수를 확인한 결과, 2014년부터 62건이 접수되었고, 2015년 37건, 올해 1월부터 10월말까지 40건으로 확인되었다. 위 사례의 경우, 민법 제5조에 의거해 법정대리인의 동의 없는 계약은 무효이므로 현존하는 제품 반환 후 계약취소가 가능하다.

 

△미성년자 소비자 피해 주의사항

 

부모 동의 없이 미성년자가 체결한 계약은 취소가 가능하다. 그러나 미성년자가 사술을 썼거나 사후 부모가 계약을 추인한 것으로 볼 수 있는 경우 등에는 계약 취소가 불가할 수 있으므로 주의한다. 방문판매 및 전화권유로 공짜나 할인 등을 강조하여 계약을 권유하더라도 이에 현혹되어 섣불리 계약을 해서는 안 되며 반드시 부모님과 상의 후 상세한 내용을 확인한 뒤 계약하도록 한다. 계약체결 후 미성년자 계약에 따른 취소 및 무효를 주장하기 위해서는 구두상으로 하기 보다는 내용증명 우편을 통해 의사표시를 한다.

 

영업사원에게 개인정보를 알려줘서는 안 된다. 영업사원의 설문조사나, 유명잡지 무료제공 등의 권유에 현혹되어 주민등록번호, 집 주소 등을 함부로 공개하지 않는다.

 

인터넷 쇼핑몰 이용시 신뢰할 만한 곳을 이용하며 판매업체의 신원정보(상호명, 연락처, 사업자등록번호, 통신판매업 신고 및 구매안전서비스 가입 여부 등)를 반드시 확인하고 제품을 배송 받으면 바로 확인한다. 만약 계약 후 구입의사가 없으면 7일 이내에 청약철회를 요청하고(상품 개봉 후 사용시에는 청약철회가 불가하므로 신중하게 생각 후 사용), 사업자가 물품 대금만 받고 연락을 끊어 피해를 입은 경우에는 경찰청 사이버수사대에 신고해야 한다.

 

한국여성소비자연합 전주·전북지회

 

문의 (063)282-9898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정치일반李대통령 “대한민국 행정 중심엔 지방정부…모든 주민 만족할 성과 내달라”

정치일반대통령실 “감사원 정책감사 폐지…직권남용죄 엄격히 적용”

정치일반전북도, 복권기금 녹색자금 공모 3개 시·군 사업 선정… 국비 14억 확보

정치일반새만금개발청, 핵융합에너지 연구기지 경쟁력 모색

경제일반[건축신문고]건축설계변경, 언제까지 건축사가 안고가야 하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