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일반기사

군산항, 이대로 갈 것인가?

전북의 유일한 해양관문 / 지역 경제발전 필수조건 / 지원정책 통해 활성화를

▲ 김철성 군산컨테이너터미널 대표이사

‘무역항’이란 국민경제와 공공의 이해에 밀접한 관계가 있고 주로 외항선이 입·출항하는 항만으로, 전국에 14개의 국가관리무역항과 17개의 지방관리무역항이 있다. 군산항은 국가관리무역항 중 하나이다. ‘국가관리무역항’이란 국내외 육·해상운송망의 거점으로서 광역권의 배후화물을 처리하거나 주요 기간산업 지원 등으로 국가의 이해에 중대한 관계를 가지는 항만을 말한다.

 

그 군산항이 위기를 맞고 있다. 2016년 연간 화물처리량이 1,960만 톤으로 전국항만물동량의 1.3%에 불과하며 2015년에 이어 10위에 머물고 있다. 2017년은 4월말 현재 1.18%로 11위이며, 인근의 대산항이나 목포항은 물론 지방관리무역항인 보령항보다도 적다. 전국 31개 무역항 중 주요항을 11개항으로 간추릴 수 있는데 그 중 최하위이다. 한때 전국 5위권의 항만세력을 갖고 있던 군산항이다.

 

근본원인은 무엇일까? 가장 큰 요인은 전라북도의 취약한 배후경제에 있다. 전북권역의 여러 곳에 산업단지가 산재해 있지만 운영이 여의치 못한 것으로 보인다. 규모가 있는 군산국가산업단지도 정상운영회사는 30%정도라는 어느 CEO의 자조 섞인 얘기를 들은 적이 있다. 도처에 가동을 멈춘 산업현장을 지나칠 때면 마음이 안타깝다.

 

경제상황도 문제이지만 군산항의 경우엔 전북권역의 수출과 수입화물의 심한 불균형이 더 큰 문제다. 수출입화물을 취급하는 GCT(군산컨테이너터미널)가 2016년 처리한 컨테이너물동량은 수입 64%·수출 36%이고, 2017년은 5월말 현재 수입 73%·수출 27%다. 싣고 나갈 화물이 있어야 선박이 찾아올 것 아닌가.

 

그 다음의 문제는 군산항의 고질적인 항로저수심이다. 반복되는 토사의 퇴적 때문이다. GCT의 경우 수심 13.5m로 개발된 부두지만 현재 8m 안팎에 불과하다. 정상적인 선박입출항과 부두운영을 못하므로 경쟁력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 군산항 내 다른 부두들 역시 유사한 어려움을 겪고 있다. 최근 군산지방해양수산청에서 2018년까지 군산항 항로수심 10.5m 확보계획을 발표했지만 이것만으로는 불충분하다. 현상유지도 버거운 지금까지의 미시적 틀에서 벗어나 거시적이고 항구적인 특단의 ‘항로수심관리대책’이 절박하다.

 

군산항은 우리나라 환 서해권의 거점항만 육성에 유리한 지정학적 이점을 갖고 있다. 또 한·중FTA 발효와 새만금한중경협단지 국가지정에 힘입어 투자유치의 전초기지 및 거점항만으로서 큰 역할이 기대된다.

 

반면, 앞서 언급한 두 가지 문제 외에도 항만기능의 재배치, 항만인입철도공사의 적정성, 새만금신항만과의 관계정립 등 난제들이 놓여있다. 또한 선진항만이 되려면 항만이 인근주민들에게 친수공간의 복합기능도 할 수 있어야 하는데 현재의 여건으론 불가능에 가깝다.

 

군산항은 전라북도가 바다를 통해 국내외 무역과 교류를 할 수 있는 유일한 해양관문이다. 따라서 전북의 경제상황을 논할 때 군산항의 기능과 역할을 빼놓을 수 없다. 군산항의 모습이 곧 전라북도 경제상황을 가늠케 하는 바로미터인 때문이다.

 

전라북도가 환 서해권의 주역이기를 자처하면서 그 중심에 있는 군산항의 가치와 위기상황을 정책의 우선순위에서 간과하고 있는 것은 아닌지, 항만관리청인 군산지방해양수산청은 중앙정부의 기관으로서 지역발전을 위한 노력에 소극적인 것은 아닌지 군산항의 발전을 염원하는 한 사람으로서 느끼는 안타까움이 작지 않다. 군산항이 인근 타 항만들과의 경쟁에서 눈에 띄게 밀리고 있다. 이러다가 소도 잃고 외양간도 못 고치는 것은 아닐까.

 

군산항을 이대로 둘 것인가? ‘군산항의 활성화’는 전라북도 경제발전에 필수조건이다. 따라서 군산항의 문제는 특정회사만의 것도 군산시만의 것도 아니다. 바로 전라북도의 문제이다. 더 늦기 전에 패러다임의 대전환과 실효성 있는 정책이 뒷받침 되어야 한다. 그동안 숙명처럼 침묵만 했던 군산항을 사랑하는 사람들도 이제 깨어나야 한다. 군산항이 사라졌다고 한 번 상상해보자.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정치일반李대통령 “대한민국 행정 중심엔 지방정부…모든 주민 만족할 성과 내달라”

정치일반대통령실 “감사원 정책감사 폐지…직권남용죄 엄격히 적용”

정치일반전북도, 복권기금 녹색자금 공모 3개 시·군 사업 선정… 국비 14억 확보

정치일반새만금개발청, 핵융합에너지 연구기지 경쟁력 모색

경제일반[건축신문고]건축설계변경, 언제까지 건축사가 안고가야 하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