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일반기사

정겨운 방언 - 박부산

억양이 틀어지고 특이하게 변하는

 

촌스러운 방언 눈물 나게 정겹다

 

얼씨구, 맞장구치는

 

전라도 사투리

 

허벌나게 와버리랑께

 

느그들 그러코롬 싸가지가 없어 어따 쓰것냐

 

니기미, 시방 모라코라

 

어따 껄떡대지 마소

 

△교수님께서 지역 방언에 관한 논문 쓰시는 곁에서 내 토종 사투리를 그대로 발음하는 아르바이트를 한 적이 있다. 김제를 벗어나 본 적이 없고 게다가 나는 사투리를 징허게 많이 썼기 때문이다. 삐얄기, 소시랑 호맹이, 달챙이, 멀크락, 교수님이 풀어서 물으시고 나는 단어로 대답하는 시간이었다. 지금도 전라도 사투리를 모아 놓은 폴더가 내 컴퓨터 안에 떡 버티고 있다. 전라도 서부지역 사투리는 조선 전기 국어(고어)와도 많이 닿아있다. 덕분에 따로 공부하지 않아도 그냥 척척 해석되곤 했다. 야 시얌에 두름박질허는 박적 깨져 버렸다잉 살살 썼는디 히마대기 하나 없이 짜개져버렸네잉. 시인의 말처럼 촌스럽지만 눈물 나게 정겹다. ·김제 김영(시인)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정치일반李대통령 “대한민국 행정 중심엔 지방정부…모든 주민 만족할 성과 내달라”

정치일반대통령실 “감사원 정책감사 폐지…직권남용죄 엄격히 적용”

정치일반전북도, 복권기금 녹색자금 공모 3개 시·군 사업 선정… 국비 14억 확보

정치일반새만금개발청, 핵융합에너지 연구기지 경쟁력 모색

경제일반[건축신문고]건축설계변경, 언제까지 건축사가 안고가야 하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