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기사 다음기사
UPDATE 2025-11-14 23:44 (Fri)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chevron_right 문화 chevron_right 전시·공연
일반기사

신선한 춤판, 젊은 무용수 3색 몸짓

우진문화재단 ‘우리춤 작가전- 젊은 춤판’
오대원·임은주·한정규, 23일 우진문화공간

▲ 왼쪽부터 한정규, 임은주, 오대원.

실험과 도전 정신으로 무장한 무대, 전주 우진문화공간. 이 가능성의 무대에서 젊은 무용가 3인이 자신을 증명해 보인다.

우진문화재단이 주최하는 ‘2018 우리춤 작가전- 젊은 춤판’이 23일 오후 7시 전주 우진문화공간 예술극장에서 열린다. ‘우리춤 작가전- 젊은 춤판’은 전북지역에서 활동하는 젊은 무용가에게 안무 창작과 공연 기회를 제공하는 기획 프로그램. 올해 우진문화재단이 픽(Pick)한 무용가는 오대원, 임은주, 한정규 씨다.

오대원 씨는 국립전통예술고와 한양대 무용학과를 졸업하고 전북도립국악원 무용단 상임단원으로 활동 중이다. 그가 내놓은 작품은 ‘백비(白碑)- 무명비석(無名碑石)’. 무당이 눌림 굿을 통해 원통한 영혼을 달래주는 모습에서 영감을 얻었다. 빙의(憑依)를 인간의 관점이 아닌, 고혼의 입장에서 상상해 표현한다. 배승현 전북도립국악원 무용단 수석단원, 안은정 전북도립국악원 관현악단 상임단원이 게스트로 출연한다.

임은주 씨는 임은주무용아카데미 대표, 전북대 무용학과 외래교수를 맡고 있다. 그는 작품 ‘1 Table 2 Chair’를 통해 소녀였고, 여자였고, 엄마였던 삶을 반추한다. 그리고 마주하며 채워졌던 자리, 상실로 비워져 버린 자리를 이어 삶의 조각을 완성한다. 정민아·안유리·정소진·이지현·하광수 씨가 게스트로 함께한다.

또 전북대 무용학과를 졸업한 한정규 씨는 한정규 아트 대표, 강명선 현대무용단 지도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Why’라는 작품으로 의문문, 그리고 그 대답이 가진 조건에 대해 고민한다. ‘어떤 방식으로 이해시킬 수 있는가’ 등 문제에 대한 질문을 시도한다. 박소영 한정규 아트 단원이 게스트로 무대에 오른다.

전 좌석 1만 원이다. 문의 063-272-7223.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다른기사보기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 400
문화섹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