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일반기사

조용히 지나간 태풍 ‘솔릭’… 전라福도?

2010년 ‘곤파스’급이라던 ‘솔릭’, 전북 관통했지만 별다른 피해 없어
내륙 상륙 바람 약화, 제20호 태풍 ‘시마론’이 영향주기도

“전라북도는 과거에도 큰 태풍 피해에서 빗겨가 재앙 없는 ‘전라복(福)도’란 말이 나오곤 했었는데 이번에도 복 받은 지역이 된 것 같습니다.”

제19호 태풍 ‘솔릭’이 전북지역을 관통했지만 당초 우려와 달리 별다른 피해를 주지 않고 지나가면서 나오는 얘기다.

당초 ‘솔릭’은 군산으로 상륙해 전북지역을 관통하면서 큰 피해를 줄 것으로 우려됐었다. 그러나 전남 목포로 상륙해 전북 일부 지역을 지나긴 했지만 강풍이나 폭우 피해는 크게 발생하지 않았다.

과거 한반도에 큰 피해를 준 태풍이 몇차례 있었지만 전북은 다른 지역보다 피해 규모가 상대적으로 적어 전라복도라는 말이 나왔었는데, 이번에도 다행히 큰 피해없이 태풍이 지나갔다.

실제로 우리나라는 1959년 태풍 ‘사라’(인명피해 849명), 2002년 ‘루사’(인명피해 246명), 2003년 ‘매미’(인명피해 131명)로 엄청난 피해를 입었지만 전북지역의 피해규모는 다른 지역보다 작았다. 매미 피해의 경우 131명의 인명피해 가운데 전북에서는 단 1명만 포함됐을 뿐이었다.

지난 2012년 태풍 덴빈과 볼라벤이 연이어 북상하면서 5명의 인명피해가 발생하긴 했지만 전북은 비교적 큰 태풍 피해가 없는 지역으로 꼽혀왔다.

솔릭은 지난 25일 오전 3시 독도 북북동쪽 약 480㎞ 부근 해상에서 온대저기압으로 바뀌며 소멸됐다.

기상청은 솔릭의 느린 속도가 세력과 방향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했다. 당초 태풍 반경 오른쪽에 들 것으로 예상됐던 전북지역은 솔릭이 당초 예상보다 아래쪽인 목포로 상륙해 태풍 중심의 왼쪽 반경에 든 것이 큰 피해가 없었던 이유로 꼽힌다.

솔릭의 속도가 느려진 원인으로도 일본으로 북상하던 제20호 태풍 ‘시마론’의 영향이 있었다는 분석도 나온다. 기상청은 솔릭이 우리나라 오른편에서 약 1100㎞가량 떨어져 일본으로 북상하던 시마론의 영향을 받으며 세력이 무너진 것으로 보고 있다.

솔릭은 우리나라를 따라 형성된 북태평양고기압을 따라 북상했지만, 일본 방면에서 시속 40㎞로 빠르게 북상하던 시마론이 북태평양고기압을 동쪽으로 수축시켰다는 것이다.

‘솔릭’과 ‘시마론’ 사이에 연쇄반응이 일어나며 ‘전라福도’가 다시 확인된 셈이다.

관련기사 태풍 ‘솔릭’이 두고간 비, 30일까지 오락가락 한다
천경석
다른기사보기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자치·의회임승식 전북도의원 “인프라만 남은 전북 말산업특구 ‘유명무실’”

자치·의회김동구 전북도의원 “전북도, 새만금 국제공항 패소에도 팔짱만… 항소 논리 있나” 질타

국회·정당임형택 조국혁신당 익산위원장, 최고위원 출마 선언…“혁신을 혁신할것”

법원·검찰남편에게 흉기 휘두른 아내, 항소심서 집행유예

사건·사고‘골프 접대’ 청탁금지법 위반 의혹 전북경찰청 간부, 혐의없음 종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