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일반기사

희망 고문

이강만 한화그룹 부사장
이강만 한화그룹 부사장

작년에 코스모스 졸업을 한 큰 아들이 아직도 정규직 취업을 못하고 계약직, 인턴을 전전하고 있어서 영 마음이 짠하다. 그 아들이 그렇다고 목표 없이 허송세월 하거나 현실에 안주해 소일하고 있는 것도 아니고, 나름 본인의 적성에 맞는 일을 찾아 보려고 부단히 노력 중이고, 또한 그 일을 맡기에 적합한 업무능력을 갖추기 위해 코피를 쏟으면서 공부하고 있어서 딱히 그를 탓할 수도 없다. 그래서 올 연말까지는 가만히 지켜보기로 했다. 그 동안 취업이 어렵다는 얘기는 귀가 닳도록 들어 왔지만 요즘처럼 어려웠던 적이 있었는지는 잘 모르겠다.

과거에도 ‘먹고 살기 힘들고 할만한 일자리가 없다’는 말은 다들 입에 달고 살았었다. 오죽하면 단군이래 ‘요즘처럼 살기 힘든 적은 일찍이 없었다’는 말이 한 해도 거르지 않고 나온다고 하지 않은가? 그런데 올해 들어 우리 경제 상황이 녹록지 않은 것은 사실이다. 급기야 올해 1분기 GDP 성장률이 비록 낮은 수치이긴 하지만 마이너스를 기록하면서 심리적으로 더 몰리는 상황이 되고 있다.

작년 이맘때 대학생인 둘째 아들과 이런 얘기를 나눈 기억이 난다.

“취업이 어려운 것은 나라의 경제 상황이나 사회구조적인 문제도 있지만 더 큰 문제는 우리 청년들의 자세에 문제가 있는 것 아닐까? 조금만 눈높이를 낮추거나, 아니면 자기가 원하는 일자리를 구하기 위해 조금 더 최선을 다하면 취직할 수 있잖아. 별로 그런 노력도 하지 않으면서 환경 탓만 하는 것 같단 말이야.”

“그건 현실을 잘 모르시고 하시는 말씀이에요. 우리 친구들 정말 열심히 살고 있어요. 노력을 안 하거나 눈 높이를 안 낮춰서 그런 게 아니라구요. 아빠 때처럼 경제 확장기에 쉽게 취직하던 시기와는 지금은 완전히 다르다구요”

아들의 이러한 반응이 필자는 꽤 불편했던데다 마치 자기 방어기제가 작동한 듯한 느낌도 있어서 한마디 쏘아붙였다.

“요즘도 어려운 가정 환경에서 성공한 사람이 얼마나 많은 줄 알아? 뉴스에도 자주 나오잖아. 아무튼 잘 되리라는 믿음을 가지고 최선을 다하면 항상 꿈은 이루어진다는 것을 우리 청년들이 명심했으면 한다” 이 정도의 훈계면 받아 들일만도 한데 둘째는 지지 않고 한마디 보탰었다.

“아빠, 저는 아빠 말씀 잘 새겨 들을 테니까요, 다른 친구들에게는 제발 그런 식으로 말씀하지 않으셨으면 좋겠어요. 그런걸 희망고문이라고 한다구요.”

희망고문? 잊고 있었던 이 단어를 생각게 하는 글을 최근 어느 지인이 보내줬다.

80년대 몹시 추운 겨울 날, 한 이등병이 언 손을 불어가면서 손빨래를 하고 있었다. 지나가다 이를 지켜보던 마음 착한 소대장이 “박 이병, 취사장에 가서 뜨거운 물 좀 얻어다 해!”라며 한마디 건넨다. 취사장에 갔지만 고참에게 ‘신병이 빠져도 한참 빠졌다’는 핀잔을 듣고 다시 돌아 와 하던 일을 계속하는 이등병을 이번에는 중대장이 보고는 “어이, 그러다 동상 걸리겠다. 취사장에서 뜨거운 물 갖다 해라”고 친절하게 얘기 해준다. 그래서 또 다시 취사장에 갔는데 고참에게 더 호된 꾸지람을 듣고 되돌아 와 서러움에 울먹이고 있던 차에, 마침 지나가던 호랑이 보급계 중사가 “야, 내가 세수 좀 하려고 하니 지금 취사장 가서 그 대야에 뜨거운 물 좀 가득 담아 와라”고 심부름까지 시킨다. 울컥하는 마음이 없진 않았지만 어찌 하랴? 군대인데… 이번엔 고참들이 선선히 뜨거운 물을 내줘서 대야 가득 담아 왔다. 그제서야 그 중사는 “박 이병, 그 물로 언 손 녹여가며 하거라. 양이 충분하진 않지만 동상은 피할 수 있을 거야”

그래, 아들이 맞다. 희망을 주되 고문은 하지 말아야 한다. 그러려면 어설픈 훈계나 미사여구 대신 그들에 대한 사랑을 보여줄 진심 어린 행동이 필요하다는 것을.

/이강만 한화그룹 부사장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정치일반李대통령 “대한민국 행정 중심엔 지방정부…모든 주민 만족할 성과 내달라”

정치일반대통령실 “감사원 정책감사 폐지…직권남용죄 엄격히 적용”

정치일반전북도, 복권기금 녹색자금 공모 3개 시·군 사업 선정… 국비 14억 확보

정치일반새만금개발청, 핵융합에너지 연구기지 경쟁력 모색

경제일반[건축신문고]건축설계변경, 언제까지 건축사가 안고가야 하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