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일반기사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 '신남방정책 2.0' 발돋움 계기 주목

25일부터 사흘간 부산에서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를 하루 앞둔 24일 부산역에서 한 시민이 정상회의 조형물 앞을 지나가고 있다. 연합뉴스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를 하루 앞둔 24일 부산역에서 한 시민이 정상회의 조형물 앞을 지나가고 있다. 연합뉴스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 및 제1차 한·메콩 정상회의가 25일부터 사흘간 부산에서 열린다.

문재인 대통령은 23일 리셴룽(李顯龍) 싱가포르 총리와의 정상회담을 시작으로 사실상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 일정에 돌입했다.

문 대통령이 취임 직후부터 4강 중심의 외교 틀을 다변화해 세계 경제회복의 엔진이자 ‘블루오션’인 아세안과 전면 협력 시대를 열어가겠다고 한 만큼 이번 정상회의는 문재인 정부의 외교 정책에 중요한 이정표가 될 전망이다.

청와대는 무엇보다 이번 정상회의를 통해 ‘사람 중심의 평화 공동체’를 표방하며 문재인 정부 외교의 한 축을 담당하는 신남방정책의 수준을 한 단계 끌어올려 ‘신남방정책 2.0’을 본격적으로 추진하겠다는 각오다.

청와대와 정부는 이번 정상회의를 계기로 잠재적 성장 가능성이 큰 아세안과의 협력 지평을 확대해 본격적으로 경제영토를 확장하겠다는 계획이다.

연 5%대 성장률을 기록하는 아세안과의 교역 규모를 2020년까지 2천억 달러로 늘리겠다는 목표를 달성하면 현재의 중국과 맞먹는 시장을 하나 더 확보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런 맥락에서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에서 가장 주목되는 부분은 다양한 경제적 협력 증진 방안 논의다.

문 대통령은 정상회의 기간 장모의 건강 문제로 불참을 통보한 훈센 캄보디아 총리를 제외하고 아세안 9개국 정상과 회담을 하면서 정보통신기술(ICT) 등 산업협력을 포함한 다양한 분야의 우호 관계 강화 방안을 논의한다.

청와대는 현재 협상이 진행 중인 한·필리핀 및 한·말레이시아 자유무역협정(FTA)을 타결하는 한편, 향후 아세안과의 구체적 협력 방안을 담은 ‘한 아세안 공동비전성명’을 통해 경제적 협력이 심화할 것으로 내다봤다.

이번 정상회의 계기에 북미 간 비핵화 대화와 함께 교착 상태인 한반도 평화프로세스가 진전의 모멘텀을 찾을 수 있을지도 주목되는 부분이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자치·의회임승식 전북도의원 “인프라만 남은 전북 말산업특구 ‘유명무실’”

자치·의회김동구 전북도의원 “전북도, 새만금 국제공항 패소에도 팔짱만… 항소 논리 있나” 질타

국회·정당임형택 조국혁신당 익산위원장, 최고위원 출마 선언…“혁신을 혁신할것”

법원·검찰남편에게 흉기 휘두른 아내, 항소심서 집행유예

사건·사고‘골프 접대’ 청탁금지법 위반 의혹 전북경찰청 간부, 혐의없음 종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