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보도자료

남북정상, 친서 교환…문대통령 “대화로 대결 시대 넘어야”

문, 희망한 곳까지 이르지 못한 것 아쉬움 “대화 진전 다음 정부의 몫”
"판문점 선언과 평양 선언, 9·19 군사합의 통일 밑거름이 돼야"
김 “역사적 합의·선언, 지울 수 없는 성과...잊지 않고 퇴임 후에도 존경할 것”

image
문재인 대통령. /사진=청와대 제공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최근 친서를 교환했다.

박경미 청와대 대변인은 22일 브리핑을 갖고 “문 대통령과 김 위원장은 최근 친서 교환을 통해 지난 5년간을 회고하면서 상호 신뢰와 대화 속에 한반도 평화와 통일의 노력을 계속 기울여나가고 있는 데 대해 공감하고, 남북의 동포들에게도 모두 따뜻한 인사를 전했다”고 밝혔다.

문 대통령은 이달 20일 보낸 친서에서 “대통령으로 마지막이 될 안부를 전한다”며 “아쉬운 순간들이 벅찬 기억과 함께 교차하지만, 그래도 김정은 국무위원장과 손잡고 한반도 운명을 바꿀 확실한 한 걸음을 내디뎠다고 생각한다”고 언급했다고 박 대변인 전했다.

특히 문 대통령은 남북의 대화가 희망했던 곳까지 이르지 못한 데 대한 아쉬움을 표하면서 “대화로 대결의 시대를 넘어야 하고, 북미 간의 대화도 조속히 재개되기를 희망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대화의 진전은 다음 정부의 몫이 됐다”며 “김 위원장이 한반도 평화라는 대의를 간직하며 남북협력에 임해 줄 것을 기대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남북이 만들어낸 판문점 선언과 평양 선언, 9·19 군사합의가 통일의 밑거름이 돼야 한다. 남북의 노력이 한반도 평화의 귀중한 동력으로 되살아날 것을 언제나 믿고 기다리겠다”고 했다.

또한 문 대통령은 “이제 평범한 국민의 한 사람으로 돌아가지만, 언제 어디에서든 한반도 평화를 위해 마음을 함께 하겠다”고 덧붙였다.

이와 관련해 문 대통령의 퇴임 후 역할을 묻는 질문에 청와대 고위관계자는 “한반도 평화, 통일, 비핵화 문제에 있어서 국민의 한사람 뿐 아니라 전직 대통령으로서 역할이 있다면 하시지 않겠나”라고 말했다.

이에 김 위원장은 21일 보낸 답신에서 “평화와 번영을 위해 함께 했던 나날들이 감회 깊이 회고됐다”며“우리가 희망했던 곳까지는 이르지 못했지만 남북관계의 이정표로 될 역사적 선언들과 합의들을 내놓았고, 이는 지울 수 없는 성과”라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지금에 와서 보면 아쉬운 것들이 많지만 여직껏 기울여온 노력을 바탕으로 남과 북이 계속해 정성을 쏟으면 얼마든지 남북관계가 민족의 기대에 맞게 개선되고 발전될 수 있다는 것이 변함없는 생각”이라고 말했다.

김 위원장은 또한 “임기 마지막까지 민족의 대의를 위해 마음써온 문 대통령의 고뇌와 수고, 열정에 대해 높이 평가하고 경의를 표한다”며 “문 대통령을 잊지 않고, 퇴임 후에도 변함없이 존경할 것”이라고 했다.

이번 남북 정상의 친서 교환에 대해 박 대변인은 “깊은 신뢰 속에 이뤄진 것으로, 문재인 정부의 마지막 친서 교환이 앞으로 남북관계 발전의 밑거름이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남북 정상은 김 위원장이 2018년 2월 청와대를 방문한 김여정 당 중앙위원회 제1부부장을 통해 문 대통령의 평양 방문을 요청하는 친서를 보낸 것을 시작으로 수시로 친서를 교환해왔다.

청와대 고위관계자는 “(그동안에도) 필요한 때에 필요한 내용의 친서는 교환을 해왔다고 이해해달라”고 설명했다.

이어 이 관계자는 ‘김 위원장의 답방 관련 논의가 있었느냐’는 질문에는 “지금은 답방을 논의할 수 있는 국면은 아니다”라고 선을 그었다.

청와대=김준호 기자

김준호
다른기사보기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문화일반이희숙 작가, 따뜻한 위로의 여정 담은 그림동화책 ‘소녀와 일기장’ 출간

문화일반부안 문학의 뿌리를 조명하다…최명표 평론가 ‘부안문학론’ 출간

정읍정읍 아진전자부품(주), 둥근마 재배농가 일손돕기 봉사활동 펼쳐

정치일반김 지사 “실질적 지방자치 위해 재정 자율성 확대 필요”...李 대통령에 건의

정치일반김관영 지사 “특별자치도, 지방소멸 막는 제도적 실험대 될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