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외부기고

[이승우의 미술이야기] 지후아트갤러리, 조윤 작가 개인전

image
조윤 작가 작품. /사진=이승우 작가 제공

‘묵향 (墨香)- 피어오르다’가 맞다. 문인화인 줄 알았다. 미안하지만 문인화가 아니다.

문인화란 전문적인 화공이나 화가가 아닌 비전공자인 문인(文人)이 여가에 그리는 그림으로 이 역시 중국에서 시작했다. 시(詩), 서(書), 화(畵)가 얼크러진 가장 주관적인 형태의 그림을 말하는 것이다.

어떻게 보면 못 그려도 변명이 가능한 그림이 문인화이다.

요즘에는 문인이 드물어지니 높고 넓고 깊은 인문학을 지닌 사람이 자기 이름의 명예를 걸고 나서 행위를 하는 것쯤으로 생각하면 될 것이다.

‘예언자’를 쓴 시인 칼릴 지브란을 보며 그가 그림도 잘 그린다고 해 문인화가라고 이름 지으면 어색하다.

프랑스의 시인 쟝 콕토를 향해서도 인문 화가라 지칭할 것인가?

칼릴 지브란 앞에는 시인, 철학자, 화가라는 수식어가 따로 앞에 놓이고, 쟝 콕토의 앞에는 시인, 극작가, 조각가, 화가라는 수식어가 이름 앞에 있다.

조윤 작가는 문인화라는 말 대신 ‘묵향- 피어오르다’인데 주위에서 문인 화적인 요소 몇 가지 있다고 해서 문인화가로 만드는 거 같다.

우선, 시와 서가 없다. 그림 속에 시와 서의 의미를 같이 담으려 했다. 고로 그녀는 그냥 그림을 업으로 하는 화가이다.

먹과 함께 채색을 이용하여 농담으로 입체감과 원근감을 표현하려는 화가다. 화공이다. 색상의 선택 포함 대상을 표현하는 데 주저함이 없는 능숙한 화공이다.

전북의 지고지순한 두 분의 문인화가를 들자면 목정 방의걸 선생과 남천 정연교 선생을 들 수 있으나 두 분 역시 그림 작업에만 몰두해야 하는 분들이다.

애초에 중국인들이 분류하고 사대사상으로 수입했던 진정한 문인화는 없어진 지 오래다.

그림의 소재를 가지고 애써 분류하려 하지 마라.

일찍이 남천 정연교 선생의 8폭 병풍에 먹으로만 그린 단 한 가지의 일지매를 보고 숨이 멎을 정도로 놀란 일이 있었다.

고백하건대 그때, 숨이 멎는 경지를 경험했다. 나도 만만찮은 사람들에게 청탁받은 일인지라 1억까지만 예상하고 수고비를 물으니 "같이 붓 잡는 사람끼리 그런 얘기는 하지 맙시다" 라며 일언지하에 전화를 끊었다.

그런 맑은 정신이어서 그런 명작 중의 명작이 나올 수 있나 보다라고 감탄했었고 지금까지도 내 뇌리에 강력히 남아있다. 나중에 보니 도립미술관에 그림을 팔러 손수 오셨던 것을 기억한다.

생활이 많이 궁핍하셨었다. 제자들이 겨우 끼니나 이어준다는 이야기를 그때도 듣고 있었다.

조윤 작가의 내공도 만만치 않은 것 같다. 하도(下圖)없이 일필휘지로 표현한 분위기들에서, 이 색상 저 색상 겹치지 않고, 더듬지 않고 한꺼번에 정리하는 능력을 보며 대상의 선택과 행위의 경험, 자신감의 삼위일체를 보았다.

문인화이건 아니건 간의 그림임에는 틀림이 없으니 그림을 만들어 내는 사람, 즉 화가, 화공으로서의 쉽지 않은 마음가짐을 다진다.

이 전시는 전주 지후 아트갤러리에서 오는 19일까지 열린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정치일반李대통령 “대한민국 행정 중심엔 지방정부…모든 주민 만족할 성과 내달라”

정치일반대통령실 “감사원 정책감사 폐지…직권남용죄 엄격히 적용”

정치일반전북도, 복권기금 녹색자금 공모 3개 시·군 사업 선정… 국비 14억 확보

정치일반새만금개발청, 핵융합에너지 연구기지 경쟁력 모색

경제일반[건축신문고]건축설계변경, 언제까지 건축사가 안고가야 하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