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자체기사

코로나 때보다 어렵다⋯전북 외식업체 5곳 중 1곳 폐업

지난해 전북지역 외식업체 폐업률 21.55%
5곳 중 1곳은 문 닫아⋯코로나 때보다 높아
고금리·고물가 등 경기 불황에 외식업 직격탄

image
도내 외식업체 5곳 둥 1곳이 문을 닫은 것으로 조사된 30일 전주의 한 식당용 중고 주방용품 거리업소에 대평 조리기구들이 쌓여 있다. 오세림 기자

코로나19 시기를 보낸 외식업이 고금리·고물가 등 경기 불황에 더 큰 시련을 겪고 있다. 경영을 유지하는 것조차 어려워지면서 폐업 딱지를 붙이는 외식업이 늘어나고 있다.

30일 핀테크 기업 핀다의 빅데이터 상권분석 플랫폼 '오픈업'에 따르면 지난해 전북지역 외식업체 3만 2978개 중 폐업한 외식업체는 7106개로 폐업률이 21.55%에 달했다. 5곳 중 1곳이 문을 닫았다는 것이다.

코로나19 확산세가 거셌던 2020년보다 폐업률이 높았다.

폐업률은 지난 2020년부터 매년 조금씩 상승했다. 2020년 11.84% 수준이었지만 2021년 12.69%, 2022년 16%, 지난해 21.55%로 치솟았다. 전국 17개 시·도 중 대구·인천(21.71%), 광주(21.68%) 다음으로 높은 폐업률을 기록했다.

코로나19에 따른 경기 침체 상황이 완전히 회복되지 않은 가운데 고금리·고물가까지 덮치면서 외식업이 직격탄을 맞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코로나19가 끝나면 모두 제자리로 돌아갈 것 같았던 외식업 사장들의 기대와 달리 오히려 더욱더 침체되고 있다.

실제로 통계청이 발표한 2023 사회조사(복지·사회참여·여가·소득과 소비·노동) 결과에 따르면 10명 중 7명은 가계 재정상황이 악화될 경우 우선적으로 외식비를 줄이겠다고 답변했다. 이렇듯 고금리·고물가에 소비를 줄이는 소비자가 많아지면서 외식업의 어려움이 더욱더 가중됐다.

전북지역 외식업 신생률도 2020년부터 조금씩 하락해 지난해 18.98%로 나타났다. 코로나19 후 신생률은 줄고 폐업률은 늘어나는 등 하루하루 살얼음판을 걷는 외식업의 어려움을 짐작하게 했다.

김태정 한국외식업중앙회 전북지회장은 "지금 상황은 정말 코로나19 때보다 더 어렵다. 저 역시도 음식점을 운영하고 있지만 급격하게 매출이 떨어지는 것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을 정도다. 사람들을 만나보면 저희만 그런 게 아니라 다른 음식점도 마찬가지다"면서 "코로나19 때는 지원이라도 있어서 버텼는데 지금은 지원도 없으니 어쩔 수 없이 문을 닫는 음식점이 속출하는 듯하다"고 토로했다.

박현우
다른기사보기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자치·의회임승식 전북도의원 “인프라만 남은 전북 말산업특구 ‘유명무실’”

자치·의회김동구 전북도의원 “전북도, 새만금 국제공항 패소에도 팔짱만… 항소 논리 있나” 질타

국회·정당임형택 조국혁신당 익산위원장, 최고위원 출마 선언…“혁신을 혁신할것”

법원·검찰남편에게 흉기 휘두른 아내, 항소심서 집행유예

사건·사고‘골프 접대’ 청탁금지법 위반 의혹 전북경찰청 간부, 혐의없음 종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