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보도자료

문인화를 사랑한 권윤희 철학 박사, ‘너와 나의 그림, Feeling, Telling‘ 펴내

젊은 대학생이 느낀 문인화에 대한 감상 수정 보완을 거쳐 엮어낸 책
김홍도의 ‘무이귀도도’비롯한 30여 점의 문인화에 대한 감상 담아내

image
너와 나의 그림 Feeling, Telling 표지/사진=교보문고 제공

“우리 옛 문인의 그림은 문인화이다. 때문에 문인화에는 우리 옛 문인들의 사상과 철학 그리고 삶이 담겨있다. 문인화가 가지고 있는 그 함의와 가치는 무한히 넓다. 이에 대한 감상은 사실상 자신과의 대화로 여겨지기도 한다. 감상은 정해진 답이 없다. 곧 그림 감상의 세계는 상상력의 지극을 통해서 더욱 깊고 넓게 나아갈 수 있다. 이는 꿈보다 해몽이라는 원칙을 보여준다.”(책 ‘너와 나의 그림 Feeling, Telling’ 중 발췌)

권윤희 철학 박사가 문인화에 대한 해석을 통해 현대인의 삶 속 행복을 발굴하는 책<너와 나의 그림 Feeling, Telling>(Uni-lab)을 펴냈다.

문인화의 개념과 가치, 심미를 연구 주제로 삼아 조선 문인의 예술을 연구하는 등 문인화에 대한 남다른 사랑을 가진 권 박사는 이번 책을 통해 우리 옛 그림이 지니고 있는 고유의 감성을 전한다.

특이한 점은 책장을 채우고 있는 글이 우리의 대표적인 옛 그림, 문인화에 대한 권 박사 본인의 견해가 아닌, 젊은 MZ 세대들의 감상이라는 점이다.

책은 과거 권 박사가 한국외국어대학교에서 진행했던 강의 속 마주했던 젊은 학생들의 마음속에 담긴 감성의 세계를 수정 보완을 거쳐, 엮어낸 것이다. 

책에는 단원 김홍도의 ‘무이귀도도’를 비롯해 안견의 ‘몽유도원도’, 겸재 정선의 ‘인왕제색도’, 공민왕의 ‘이양도’, 사임당 신 씨의 ‘초충도’ 등 이름만 들어도 머릿속에 떠오르는 유명 작품을 통해, 꿈속의 이상향, 조선 선비의 정신, 우리나라의 아름다운 산수 등에 대한 젊은 대학생들의 감상으로 가득하다.

권 박사는 “젊은 학생들의 그림을 보는 눈은 뛰어나다”며 “이는 곧 그들의 감성이 뛰어난 결과이다. 흔히 아는 만큼 보인다고 한다. 결국 그림에 대한 안목이 있어야 가능하다. 즉, 그림에 대한 이해가 전제되어야 제대로 감상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는 “누구나 예술가가 될 수 있다. 예술가는 자기 삶이 곧 예술이다”라며 “그가 누리는 삶은 이상의 추구이면서 가치 경계의 체현이다. 감성 지능적 감상은 곧 더욱 깊은 행복의 세계에 나아가는 길이다. 이러한 입장에서 우리 젊은 학생들의 감상이 현대인에게 조금이라도 공감이 됐으면 하는 바람으로 이번 책을 출간하게 됐다”고 덧붙였다.

권 박사는 성균관대에서 철학박사(동양미학) 학위를 받고 성균관대 초빙교수를 역임했다. 또 동양의 미학과 예술정신에 대해 중앙대와 한국외대의 접경 인문학 연구단에서도 활동했다. 저자는 문인화의 개념과 가치, 심미를 연구의 주제로 삼아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으로 조선 문인의 예술을 연구했으며 풍죽 문인 화가로 세 번의 개인전을 가진 바 있다. 현재 한국외국어대에서 동양미술을 강의하고 있다. 한국외국어대 철학 문화연구소 초빙연구원, 한국 서예협회 문인화분과위원으로 활동 중이다. 

전현아
다른기사보기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정치일반李대통령 “대한민국 행정 중심엔 지방정부…모든 주민 만족할 성과 내달라”

정치일반대통령실 “감사원 정책감사 폐지…직권남용죄 엄격히 적용”

정치일반전북도, 복권기금 녹색자금 공모 3개 시·군 사업 선정… 국비 14억 확보

정치일반새만금개발청, 핵융합에너지 연구기지 경쟁력 모색

경제일반[건축신문고]건축설계변경, 언제까지 건축사가 안고가야 하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