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자체기사

10명 중 5명은 '70세 이상'…전북 농촌 '고령화 빨간불'

지난해 전북 농가 8만 7718가구로 전년대비 2.5% 감소
농가인구 58.8% 65세 이상, 70세 이상은 전체 42.9%
어업과 임업 역시 65세 이상 각각 56.0%·57.1% 차지

image
사진=클립아트코리아

전북 지역 농업이 전반적인 감소세와 함께 고령화 문제가 산업 전반에 걸쳐 심화되고 있다.

통계청이 17일 발표한 '2024년 농림어업조사 결과'에 따르면 전북 농가는 8만 7718가구로 전년 대비 2.5%(2300가구) 감소했다.

전북의 전업농가(농사일 이외의 다른 직업에 종사하는 사람이 없는 농가)는 4만 8164가구로 전체 농가의 54.9%를 차지해 전국 평균(55.7%)보다는 소폭 낮은 반면, 1종 겸업농가(연간총수입 중 농업수입이 50%이상인 농가) 비율은 15.8%로 전국 평균(11.1%)을 상회했다.

전북 농업의 문제는 고령화다. 경영주 연령별 농가 현황을 살펴보면 70세 이상이 4만 8555가구로 전체의 55.4%에 달했으며, 60대까지 포함하면 농가의 84.8%가 60세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비해 40세 미만 경영주는 675가구로 0.8%에 그쳤다.

농가인구 역시 65세 이상이 10만 1051명으로 전체 농가인구(17만 1859명)의 58.8%를 차지했다. 특히 70세 이상 인구만 7만 3763명으로 전체의 42.9%에 이르렀다.

전북 어가와 임가는 전국적 추세와 다른 양상을 보였다.

전북 어가는 2696가구로 전체 어가(4만 890가구)의 6.6%를 차지했으며, 전년 대비 2.8% 증가해 전국적 감소 추세(2.1% 감소)와 대조를 이뤘다.

임가도 전북은 1만 801가구로 전체 임가(9만 8041가구)의 11.0%를 차지했으며, 전년 대비 2.8% 증가해 전국 임가 감소율(1.2%)과 상반된 성장세를 보였다.

그러나 어업 분야에서도 고령화는 뚜렷했다. 전북 어가인구 중 65세 이상은 2923명으로 전체(5215명)의 56.0%를 차지했다. 60대(1682명)와 70세 이상(1931명)이 전체 어가인구의 69.3%를 차지한 반면, 30세 미만은 354명, 30대는 158명에 그쳤다.

임업 분야도 마찬가지다. 전북 임가인구 중 65세 이상은 1만 2666명으로 전체(2만 2168명)의 57.1%를 차지했다. 70세 이상 인구만 봐도 9040명으로 전체의 40.8%에 달했다. 30세 미만(1666명)과 30대(602명)를 합쳐도 전체의 10.2%에 불과했다.

김선찬
다른기사보기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정치일반李대통령 “대한민국 행정 중심엔 지방정부…모든 주민 만족할 성과 내달라”

정치일반대통령실 “감사원 정책감사 폐지…직권남용죄 엄격히 적용”

정치일반전북도, 복권기금 녹색자금 공모 3개 시·군 사업 선정… 국비 14억 확보

정치일반새만금개발청, 핵융합에너지 연구기지 경쟁력 모색

경제일반[건축신문고]건축설계변경, 언제까지 건축사가 안고가야 하나